사회 사회일반

항공편 결항·수하물 파손등 법률로 보상

천재지변등 사유 인정땐 제외

이르면 내년부터 항공사의 잘못으로 항공편이 결항 또는 지연되거나 수하물이 분실, 파손될 경우 항공사의 보상의무가 법률로 규정된다.

국토해양부는 12일 김포공항 SC컨벤션에서 항공전문가와 항공사,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의 항공법 개정안을 놓고 공청회를 열었다.

지금은 항공사의 과실로 비행기를 제 시간에 타지 못하거나 장시간 지연 출발할 때 항공사에서 자율적으로 보상하고 있지만 개정안은 이를 법에 따라 보상하도록 했다.


보상 대상에는 고의·과실에 따른 결항 및 지연 운항, 수하물 분실·파손, 항공권 초과 판매와 취소 항공권의 대금환급 지연이 포함된다.

관련기사



태풍을 비롯한 기상악화나 지난 4월 발생한 아이슬란드 화산재 영향과 같은 천재지변, 안전운항을 위한 긴급 정비 등 어쩔 수 없는 사유가 인정되면 보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항공사는 보상 신청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고 신청 내용이 부당하다고 판단하면 접수일에서 14일 이내에 한국소비자원에 중재를 의뢰하면 된다.

국토부는 또 항공사가 제공하는 운항의 정시성 등 각종 서비스를 평가해 국토부 장관이 공표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저가항공사 4곳 등 국내 항공사가 1차 평가 대상이고 우리나라에 취항하는 외국 항공사에 대한 평가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토대로 개정안을 확정해 올 정기국회에 제출, 통과하면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