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령 퇴직자들 '뉴스타트'

경력·전문성 살려 재취업·사회활동<br>인력공단 지원 프로그램 확대

김향순(62)씨는 요즘 매일 오전9시면 다문화 교사과정에 참석하기 위해 서초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찾는다. 40년간 교직에 몸담았던 김씨는 지난 2008년 2월 명예퇴직했다. 퇴직 후 초기에는 여행도 다니면서 자유로운 생활을 즐겼지만 시간이 지나자 별다른 활동 없이 집에만 있는 것이 오히려 고역이었다. 김씨는 재취업의 기회를 잡기 위해 다문화 교사과정에 참여하게 됐다. 은퇴 후 경력과 전문성을 살려 사회공헌 활동을 하려는 퇴직자들이 고령자 뉴스타트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얻고 있다. 고령자 뉴스타트 프로그램은 50세 이상의 준고령자를 교육과 현장연수ㆍ취업알선 등을 통해 재취업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으로 2007년 노동부가 시작했으며 지난해부터 산업인력공단이 담당하고 있다. 공단은 올해부터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이들에 대한 프로그램을 확대해 지난해까지 20개였던 과정을 올해 100개로 늘렸다. 이에 따라 지난해 700명이던 교육 대상이 3,000명으로 증가했다. 이중 다문화 교사과정, 여신상담 및 사후관리 과정 등은 전문가과정으로 올해 처음 시도됐다. 다문화 교사과정은 다문화 가정 출신 초등생의 한국 문화 적응을 돕기 위한 것으로 현재 교직 출신 30여명이 교육을 받고 있다. 이들은 200만~300만원 이상의 공무원 연금을 받고 있어 생계 유지에 큰 어려움이 없는 사람들이다. 다문화 교사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양희석(62)씨는 "교육을 마친 후 경력과 전문성을 살린 사회활동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소금융 상담을 하게 될 여신상담 및 사후관리 과정 교육을 받고 있는 여창수(57)씨는 "여신관련 업무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사회에 다시 나가고 싶다"며 "대부분의 은퇴자는 돈을 벌기보다는 자신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고 싶어한다"고 설명했다. 조영일 공단 직업능력지원국장은 "생계형 재취업도 중요하지만 은퇴자들의 경험을 살려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도 필요하다"며 "은퇴자를 사회적 자본으로 인식하고 인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