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윤증현 "환율논쟁 종식…경상수지목표제 韓 제안, 美 수용"

“환율논쟁 이것으로 종식…환율 결정과정에서 시장 역할 더욱 강조”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경상수지 목표제는 의장국인 한국의 제안을 미국이 수용해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 날 경주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 회의 직후 가진 의장국 기자회견에서 “환율을 중심으로 경상수지 폭이 한 쪽으로 너무 많이 치우쳐질 경우 지속가능할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경상수지를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문제와 관련, “경상수지 흑자 적자 규모를 균형있게 가져가야 그 나라 경제도 건전하게 갈 수 있고 세계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도 기여한다”며 “그런 의미에서 경상수지 폭의 일정 밴드 유지가 언급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환율 문제와 관련, “이번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는 환율 논쟁을 둘러싸고 세계에 드리워졌던 불확실성과 불안정을 제거하는 역할을 했다”며 “환율논쟁은 이것으로 종식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 날 경주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 회의 직후 가진 의장국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의 의미와 성과를 이같이 평가했다. 토론토 G20 정상회의에서 언급했던 ‘시장지향적 환율제도’가 ‘시장결정적’이라는 표현으로 바뀐 것에 대해 윤 장관은 “여러가지로 정의가 가능하지만 환율 결정과정에서 시장 역할이 더욱 강조된다는 뜻”이라고 정의했다. 거시건전성 차원에서 시스템 보완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의 역할이 더 강화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 장관은 이번 회의의 의미에 대해 “글로벌 경기침체 이후 회복단계에 들어간 시점에서 (공조) 동력이 많이 상실돼 (G20이) 시스템으로 정착될 것인가 의문을 품어온 사람들이 많았다”며 “하지만 세계경제의 질서를 주도해 나갈 프리미엄 포럼으로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기구가 되는 데 경주회의가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또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이번 경주에서 논의된 내용을 포함해 더욱 광범위하고 심도있는 의제들이 논의될 것”이라며 “모든 내용은 서울선언문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