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형 금융기관들은 서방의 이란 제재가 해제되기 전에는 움직이지 않을 게 확실하다. BNP파리바, HSBC, 크레디트스위스, 스탠다드차더드, 코메르츠방크, 바클레이즈 등 상당수 글로벌 은행들은 미국의 경제 제재를 무시하고 이란, 수단, 쿠바 등과 대규모 금융거래를 한 혐의로 많게는 수십억 달러씩 천문학적 규모의 벌금을 얻어 맞았다. 이 같은 아픈 기억 때문에 월가의 투자 은행들은 이란 증시에 섣불리 뛰어들지 못하고 있고 석유 메이저 업체나 인터넷 공룡 기업들도 현지 진출을 주저하고 있다.
핵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미국과 이란간 갈등이 완전히 풀릴 가능성도 낮다. USA투데이는 "미국 정부가 이란의 인권 탄압, 탄도미사일 개발, 테러 그룹 지원 등을 이유로 대다수 미 기업들의 이란 사업을 지속적으로 금지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모든 경제 제재가 해제되더라도 트럭, 복사기, 프린터기, 철강 등 군사용으로 전용될 수 있는 제품 판매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럽ㆍ아시아 기업 중심으로 이란 투자가 활성화될 여지가 크다는 얘기다.
다른 투자 걸림돌도 여기저기 널려있다. 이란은 1979년 혁명 이후 공공 이익을 위해서는 외국인 자산도 국유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투자 이익을 남긴 뒤 본국으로 가져갈 수 있을 지도 여전히 불투명하다. 아울러 이란 정부의 부패, 관료주의, 기업 소유권의 불확실성 등도 우려 요인이다. 계약서를 중시하지 않는 중동 특유의 사업 문화도 외국인들을 곤혹스럽게 할 것으로 보인다. 스위스-이란 합작투자사인 아르잔 캐피털의 안드레아스 슈바이처 파트너는 "계약서 사인은 단지 긍정적인 의사 표시에 불과하고 진짜 협상은 이후에 벌어진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