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홈쇼핑업계 '또 하나의 암초'

홈쇼핑 업계가 끙끙 앓고 있다. 성장성은 정체됐는데 마땅한 돌파구는 보이지 않고, 오픈마켓 등 신규 사업은 ‘돈 먹는 하마’고…. 대박 상품을 구경한 지도 한참이다.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주식시장이 지수 1,500을 돌파하며 최고치로 날마다 경신하고 있지만 홈쇼핑 주가는 지난해 이맘때에 비해 거의 반토막 난 상태. 홈쇼핑 업계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해주고 있는 듯하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는 홈쇼핑채널이 하나 더 생길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방송위원회가 중소기업 몫의 홈쇼핑을 대기업에 넘겨주고 신규 채널을 중소기업에 허가해 총 6개 채널 체제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홈쇼핑 업계 입장에서는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리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 한곳이 더 생기면 수익성 악화는 불 보듯 뻔하다”며 “아직까지는 소문에 불과하지만 만에 하나 현실화될 경우 업계 전체가 날벼락을 맞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는 아이에게 뺨까지 때릴 것이냐는 항변이다. 볼멘소리를 넘어 말도 안 된다는 목소리도 높다. 모 홈쇼핑의 임원은 “홈쇼핑시장이 더 이상 커지지 않고 대기업 일색인데 중소기업용 몫으로 챙겨주겠다는 것은 명분 없는 논리”라며 “방송위는 절대로 신규 채널을 추가승인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설마 방송위가 명분도 없고 실리도 없는 방안을 무작정 밀어붙이기야 하겠냐며 다소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상황이 홈쇼핑 업계의 생각대로 진행될지는 좀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방송위가 최근 홈쇼핑 분석 연구를 시작했기 때문. 오는 6월께 나올 이 작업에는 홈쇼핑시장 현황뿐 아니라 정책 전반과 신규 채널의 필요성 여부도 다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현실을 놓고 본다면 홈쇼핑 신규 채널 허가는 무리수로 보인다. 반면 일각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있다는 특수성 때문에 ‘특혜 변수’가 공론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소비자 위주의 정책이 전개돼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소비자는 정부와 기업의 이해관계보다 우선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