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韓·中 반일운동 큰 차이] "감정적 대응" VS "실속 챙기기"

시민단체 日제품 불매 "대상 모호" "치밀"<br>정부대응도 "강경하게" "냉정하게" 대조적


일본의 교과서 파동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이 일제히 강력한 반일운동을 펼치고 있지만 대응 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정부와 시민단체 모두 감정적인 대응으로 일관,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데 반해 중국은 치밀하면서도 실속은 철저히 챙기는 ‘실리 외교’를 펼치고 있는 것. 서울 흥사단ㆍ평화통일시민연대ㆍYWCA 등 33개 시민단체들은 7일 오후 일본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이 우익세력의 주도하에 패권적 군국주의를 부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후소샤 교과서를 만든)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을 후원하는 기업의 모든 제품에 대한 2차 불매운동을 적극 전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미쓰비시ㆍ가와사키ㆍ후지쓰ㆍ이스즈ㆍSMKㆍ마루베니 등 아직까지 새역모 후원자로 남아있는 303명이 포함된 모든 일본 기업의 제품에 대해 더욱 강력한 불매운동에 돌입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들은 구체적인 불매 대상 제품 명단을 선정하지 않아 시민들은 “어떤 제품을 사지 말라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혼란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날 불매 대상이라고 발표한 303명의 명단이 일본 ‘히라카나’ 순으로 적혀있고 기업과 전혀 관계없는 교수ㆍ비평가ㆍ종교인 등의 명단이 주류를 이뤄 불매운동의 실질적 효과를 스스로 감소시켰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반면 중국은 한국보다 한수 위의 반일 운동을 벌여 톡톡히 재미를 보고 있다. 전국적인 소매업계 조직의 상인들이 시민단체와 적극 결합, 일본 제품의 진열대 배치 자체를 금지시키자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후소샤 교과서에 지원한 아사히 맥주와 아지노모토사의 제품 등의 구입자가 급감하고 있다. 온라인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 중국은 주요 3대 포털사이트가 서명운동을 주도하면서 서명자가 이미 3,000만명을 돌파한 데 반해 한국은 33개 시민단체들이 개설한 ‘100만인 서명운동’ 홈페이지에 서명자가 8일 현재 1만400여명에 그쳐 인터넷 강국이라는 이미지가 무색할 정도다. 정부의 대응 방식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일본에 “교과서 왜곡을 즉시 삭제하라” 며 고강도의 발언을 연일 쏟아내고 있지만 일본은 꿈쩍도 않는 형국이다. 특히 외교부는 교과서 왜곡에 대한 정보를 사전 입수하지 못하고 내외신 언론보도에 따라 대응 수위를 조절하는 등 정보력 부재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할 말은 하면서도 “각종 반일 캠페인이나 반일 논조의 수위를 조절하라”고 전국 언론매체에 통지문을 발송하는 등 냉정한 대응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강온 전략을 적절히 구사, 일본 정부와의 막후 협상을 통해 외교적 이득을 취하는 것이 중국의 전략이다. 김태효 성균관대 교수는 “일본의 우경화는 상당히 오래 진행돼 온 만큼 (중국처럼) 움직임을 잘 파악해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실용외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