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법무부서 대폭강화

검찰의 정치 비자금 수사가 해를 넘기면서 기업마다 자체적인 법적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LG, SK, 현대자동차 등 4대그룹을 비롯해 국내의 주요 기업들은 최근 법무관련 부서의 규모를 늘리거나 최고 책임자의 직급을 파격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LG는 올해 창업 가문인 구씨와 허씨의 계열분리, LG카드 사태, 정치비자금 파문 후속조치 등 그룹 경영을 둘러싼 각종 현안이 즐비하다는 점에서 법률팀 보강에 심혈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이에 앞서 LG는 연말 임원인사를 통해 김상헌 법무팀 상무를 부사장으로 전격 승진시키는 등 사실상 `법률전문가 전진배치`에 들어갔다. 삼성도 현재 40명에 달하는 법률팀의 전문인력을 추가 보강하는 방안을 점검 중이다. 삼성은 이와 병행해 유력 법조인을 브레인 풀로 적극 활용한다는 전략아래 사외이사 제도를 십분 활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ㆍ기아차 역시 조만간 법무팀 인력을 충원하고 팀장 직급을 부사장이나 사장급으로 격상시키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각종 현안이 산적한 SK는 법적 대응력 강화가 시간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우선 한국의 대표적인 로펌인 김&장 법률사무소를 활용하는 아웃소싱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검찰의 정치비자금 수사 확대 및 2005년 도입예정인 증권집단소송제 등으로 갈수록 경영행위에 대한 법적분쟁의 소지가 고조되는 양상”이라며 “앞으론 적절한 법적 대응에 실패할 경우 자칫 기업의 사활이 좌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마다 법적 대응능력을 최대한 키우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관련기사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