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정규직 “6개월 안에 절반이 회사 떠나”

월평균 임금도 정규직의 절반에 그쳐

비정규직 근로자의 절반 가량은 6개월 안에 회사를 떠나고 있다. 또 이들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3.6개월로 채 만 2년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노동연구원 성재민·정성미 책임연구원이 통계청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3.6개월로 나타났다. 이는 정규직 근로자 평균 근속기간인 77.3개월과 비교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비율(30.5%)이다. 특히 6개월 이하 근속한 근로자는 정규직에서는 18.7%에 불과하지만 비정규직은 절반이 넘는 50.6%에 달했다. 근속 기간이 120개월(10년) 이상인 근로자는 정규직의 경우 4명 중 1명꼴(24%)이지만 비정규직은 전체의 4.4%로 매우 드문 것으로 조사됐다.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지난해 정규직 임금을 100으로 할 때 54.8에 불과해 정규직의 절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과 대비한 비정규직 임금은 2002년 67.1에서 카드사태가 있었던 2003년 61.3으로 떨어졌고, 국제금융위기가 영향을 미친 2009년에는 다시 54.6으로 내려앉았다. 근로시간은 지난해 정규직이 주당 45.6시간, 비정규직이 주당 39.0시간으로 정규직이 약간 길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기준으로 임금근로자 1,704만8,000명의 33.4%인 568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성재민 연구원은 “비정규직의 근속 기간은 2002년 통계분석 이후 24개월 안팎에서 변동하고 있다”며 “정규직과 대비한 비정규직의 임금은 경기 변동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