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통신서비스 등 후속조치 논의/어제부터 KEDO­북 2차협상

◎인건비문제 북측 요구·우리측 제시안 입장차지난달 31일 방북, 2일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대표단은 북한에서 뭘 논의할까. 오는 7일까지 계속될 KEDO 대표단의 이번 북한 협상은 지난 4월9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된 1차협상에 이은 연속협상으로 이미 합의된 통신·통행·서비스 의정서의 후속사항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무협상을 위해서다. 대표단은 또 협상을 마친 뒤 병원등 관련 시설들도 시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합의된 해상로 뿐만 아니라 입·출국 및 해로, 공로 이용절차를 비롯 ▲북한 인력채용 범위와 조건 ▲우편·통신연결 ▲현지 긴급환자 발생시 대책 ▲금융 및 북한의 물자 서비스 등에 관해 광범위하게 실무 협의를 한다. 특히 인건비에 대해서는 북한측의 요구와 우리측 제시안이 이견을 보이고 있는 데다 외국인 노동규정이 적용돼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루빨리 경수로부지 착공을 바라는 북한당국의 입장을 감안하면 의외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성급한 기대도 가정해 볼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 1차 협상때도 이같은 기대를 했다는 점과 지난번 북한측의 협상태도를 고려하면 앞으로 1∼2차례 더 실무협상이 필요할 것 같다는게 관계자들의 견해다. 경수로기획단의 한 당국자가 2일 『북한측과의 협상의제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타결짓는 것은 어려운 만큼 북측의 입장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게 급선무』라고 밝혀 조기착공은 불가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통일원 관계자도 이날 『협상의제들이 완전합의될 때까지는 많게는 3∼4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KEDO와 북한간의 2차실무협상이 의외로 원만하게 이루어질 경우 이르면 오는 7월중순께 경수로 부지공사 착공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일 내외통신에 따르면 북한의 중앙방송이 협상의 성격과 관련 『이번 협상에서는 경수로 대상건설 착공에 필요한 기술실무적 문제들을 최종적으로 토의, 확정하게된다』고 밝혀 낙관론도 만만치 않다.<양정록>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