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목고 부모소득 727만원…일반고 400만원대”

서울교육종단연구 초중고생 가정배경 등 분석

고교 유형과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부모의 소득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유한구 연구위원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혜숙 부연구위원은 서울시내 251개 초중고생 7,887명의 가정배경과 개인특성 등을 분석한 결과를 27일 서울교육종단연구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한다. 분석결과 외고ㆍ국제고ㆍ과학고 등 특수목적고 학생의 평균 가구소득은 727만원, 자율형사립고는 평균 526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일반계고 학생의 평균 가구소득은 400만원대가 주류였다. 수학성적 기준으로 학업성취도 상위권인 일반계고는 520만5,000원이었고, 하위권 일반계고는 410만4,000원이었다. 초등학교에서는 학업성취도 상위권 학교의 학부모 평균 소득이 634만4,000원으로 하위권 학교(413만7,000원)보다 220만7,000원 많았고, 중학교도 상위권 학교의 학부모 평균 소득이 644만4,000원으로 하위권 학교(384만6,000원)보다 259만8,000원 많았다. 초중고 모두 학교별 격차의 가장 큰 요인이 학부모의 교육ㆍ소득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관련성을 나타내는 설명도가 초교 55%, 중학교 68%, 고교 31%였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조사에서 설명도가 10%만 넘으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유 연구위원은“학교 격차의 대부분이 외적인 요인, 특히 부모의 소득수준 등에 의해 결정된다”며“학교는 교육 격차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