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 “북미 코뮈니케 존중하면 핵개발 중단할 수도”

시갈 소장 통해 미 정부에 메시지‥VOA 보도

우라늄 원심분리기 공개로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미국이 2000년 합의된 ‘북미 공동 코뮈니케’를 존중하면 핵개발을 중단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최근 방북 한 미국의 한반도전문가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지난 15∼18일 나흘간 평양을 방문한 리온 시갈 미국 사회과학원 동북아안보프로젝트 소장은 북한 고위 당국자들한테 이 같은 메시지를 전해 듣고 미 국무부와 한국, 일본의 관계 당국에 통보했다. 북미 공동 코뮈니케는 2000년 10월 양국이 발표한 공동성명으로 ▦상호 적대의사 철회 ▦경제 협력 ▦정전협정의 평화체제 전환 ▦미사일 문제 해결 등을 위해 서로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조명록 전 인민군 총정치국장(11월6일 사망)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워싱턴을 방문, 빌 클린턴 대통령에게 관계개선을 희망하는 김 위원장의 친서를 직접 전달하기도 했다. 이들 북한 당국자는 “우리의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영변의 기존 핵시설 해체를 시작하고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도 중단해 되돌릴 수 있다”면서 “북한은 아무런 전제조건 없이 미국과 협상에 임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고 시갈 소장은 전했다. 그는 그러나 이들 북한 당국자가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들 북한 당국자는 이어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이 없어지면 우리는 더 이상 핵무기를 보유할 이유가 없어 한반도 비핵화도 이룰 수 있다”면서 “하지만 미국이 협상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우리는 우라늄 농축 외에 불능화한 플루토늄 시설의 재가동도 추진할 것”이라고 위협했다고 시걸 소장은 덧붙였다. 시걸 소장은 또 북한 당국자들로부터 “우리가 보유한 것은 더 이상 핵 장치가 아니라 핵탄두”라는 말도 들었다고 소개했으나, 이 ‘핵탄두’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전해지지 않았다. 한편 9∼13일 방북해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보고 돌아온 지그프리드 헤커 미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소장도 20일(현지시간) 이 대학 홈페이지에 올린 ‘방북보고서’에서, 북한 당국자들로부터 ‘북미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 비핵화는 없을 것이며, 북미 공동 코뮈니케가 문제 해결의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