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 60만 재일 한국인 보호 대책 시급

장선화 <뉴미디어부 차장> 최근 MBC는 지난해 7월 작고한 재일 한국인 2세 극작가 츠카 코헤이(한국이름 김봉웅)의 삶과 작품세계를 다룬 특집 다큐를 방송했다. 25살에 일본 최연소로 희곡상을 수상하면서 세상에 이름을 알린 김봉웅은 2007년 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일본 문화 훈장인 자수포장(紫綬褒章)을 수상하면서 일본 청년문화의 아이콘자 신화가 됐다. 일본 문화계에서는 ‘한국이 일본에게 준 선물’이라며 칭송을 아끼지 않았다. 그의 작품에는 소수인이 차별받지 않는 세상이라는 주제가 중심에 있다. 어느 한 나라에도 속하지 못했던 그는 미리 써 놓은 유언장에 ‘일본과 한국 사이에 있는 대한 해협 부근에 내 유골을 뿌려주길 바란다’는 말을 남기고 6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일본 식민치하에서 일본으로 끌려간 수많은 한국인들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일본에 자리를 잡았고, 전쟁 후 남과 북으로 찢어진 조국을 안타깝게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초기에 북한이 주축이 된 조총련이 앞장서 동포의 권익을 보호하는 동안 남한은 국가 재건, 민주화 등 격랑을 헤쳐 나오기 급급해 재일 한국인 문제를 간과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심각해지자 임시 항공편을 급파하는 등 각 나라는 자국민 보호에 나섰다. 이명박 대통령도 우리 교민을 보호하는 데 만전을 기하라는 메시지를 외교부에 전달했다. 교민의 사전적 의미는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동포’로 정착한 교포, 유학생, 주재원을 아우른다. 현재 일본에는 60만명의 교민이 있다. 일본 체류 외국인 중 가장 많은 숫자다. 정부가 규명한 일본 교민의 범주가 유학생과 주재원에 국한되지 않았으리라 믿는다. 그렇다면 이번 일본 대지진에 60만 한국 교민을 위한 보호 및 철수 대책은 있는지 의문이다. 조총련과 민단 등으로 교포사회는 나눠지고, 차별을 견디지 못해 귀화하는 등 복잡한 저간의 이유로 일본에 뿌리를 내린 교민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미약한 것이 사실이지만 분명한 것은 그들이 교민이라는 사실이다. 최근 인천공항에서“모든 것을 다 버리고 왔다”며 울먹이던 한 재일 교포의 눈물이 정부의 무책임함을 질타하는 것 같아 안타깝기만 하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의 공포가 가시지 않은 재일 교포들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온갖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는 일본에서 불안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일본의 재난에 대한 그들의 보호 대책 수립을 더 늦춰서는 안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