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尹 금감위장 "IPO, 국제수준 개선"

고수익 펀드에 배정되는 신주발행 물량을 없애고 이를 주간사가 일괄 인수하는 방향으로 기업공개(IPO)제도가 개선된다. 특히 IPO를 국제적인 수준에 맞추기 위해 주간증권사가 신주발행 총액을 인수하는 대신 신주를 배분하는 권한까지 부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은 17일 “자본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수ㆍ공모제도를 국제적 수준으로 개선하고 통합거래소 출범에 맞춰 시장 진입제도를 효율적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재 고수익 펀드에 배정되는 신주발행 물량을 없애고 그 물량을 주간사가 일괄 인수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현행 권한보다는 미달된 신주 총액을 인수하는 책임만 있는 주간사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해당 주간사에 물량배분권한까지 주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선진국 수준의 IPO제도를 통해 주간사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고 IPO시장의 ‘시장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업체의 한 관계자는 “고수익 펀드에 우선 배정을 한 이유는 고수익 펀드의 수익보전 차원에서 시작한 것”이라며 “현재 고수익 펀드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행 IPO는 주간사에 권한보다는 책임만 있는 꼴”이라며 “선진국처럼 주간사에 신주배분권, 공모가 결정 등의 모든 권한도 함께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또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 “통합거래소 출범에 맞춰 양 시장간 진입제도를 효율적으로 개편해 직접금융시장을 통한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하겠다”며 “신탁업과 신용파생상품 거래 허용 등 증권사에 대한 업무범위를 넓히고 펀드의 대형화, 펀드 판매채널의 확대 등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