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 공유경제 활성화 ‘시동’

부산시가 시간 단위로 차량을 빌린 뒤 필요한 만큼만 쓰고 되돌려주는 공유서비스인 카쉐어링 등 공유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부산시는 여분의 재화나 지식을 소셜네트워크(온라인 플랫폼)를 통해 대여하거나 교환하는 생활방식인 ‘공유경제(Sharing Economy)’에 대한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공유경제란 제품, 빈방 등을 여럿이 나눠 쓰는 협업 소비를 일컫는 말로 소유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제품 등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값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 대여해주는 개념이다.

깨끗한 옷을 물려주고 물려 입는 ‘키플’이나 192개국 3만4,800여개 장소에 대한 숙박 정보를 공유하는 ‘에어비앤비’, 10분 단위로 요금을 책정하는 자동차 공유 서비스 ‘쏘카’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개인들의 현명한 소비활동을 앞세워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한 공유경제를 부산에 접목, 단기적으로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장기적으로는 공동체를 복원한다는 게 부산시의 복안이다.


정진학 부산시 경제통상국장은 “공유경제는 잉여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공익적 성격을 갖고 있다”며 “시민사회, 기업, 공공부문간 기존 자원의 활용 극대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부산시는 공유문화 공유경제 기반조성, 민간영역 지원통한 사업 발굴, 공유경제 활성화 및 소통확산을 주요 전략으로 한 ‘공유경제 부산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우선 이달 경제부시장(위원장)을 비롯해 전문가 등 총 15명으로 이뤄진 ‘공유경제 촉진 위원회’를 본격적으로 구성하고 오는 5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컨트롤타워격인 이 위원회는 공유단체·기업을 지정하고 참여자를 지원하는 등 계획 전반에 걸쳐 관리·감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공유경제의 싹을 틔우려고 지난해 구축한 공유경제정보센터 웹 플랫폼을 확장해 부산 시민들이 공유경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 방침이다.

지자체가 관리하는 강당과 체육시설 등 공유자원 DB를 구축해 시민들이 공유시설에 대한 실시간 예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이밖에 매년 공모를 통해 선정된 지역 기업들에게 플랫폼 구축과 마케팅 사업에 필요한 일부 보조금을 지원하고 공유활동가·공유단체·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워크숍도 해마다 열기로 했다.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