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청와대 등에 대한 해킹을 시도했는지는 불명확하다. 어나니머스 소속이라는 해커 하나가 자신의 소행임을 밝혔지만 정착 어나니머스 측은 이를 부인했다. 그렇다고 주요 기관의 전산망이 뚫릴 때마다 전가의 보도처럼 둘러댔던 북한의 소행 여부도 확실치 않다. 인터넷에서는 피해가 경미했다는 점을 들어 '셀프해킹'이라는 비아냥도 나오고 있다.
어떤 경로를 통해 청와대 등에 대한 해킹이 시도됐는지는 분명치 않아도 확실한 사실이 하나 있다. 사이버테러 대응능력이 아직도 멀었다는 사실이 이번 해킹 사건을 통해 다시금 확인됐다는 점이다. 어디 청와대가 뚫린 게 이번이 처음인가. 2009년 7월과 2011년 3월에는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 2년마다 한번씩 해킹을 당한 셈이다.
문제는 반복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국가중추신경이 두 차례 해킹된 데 이어 또 당했다면 청와대는 전세계 해커들에게 손쉬운 먹잇감으로 비칠 수 있다. 이런 사태를 방지할 대책은 오직 인력육성에 있다. 북한의 사이버전사가 3,000~2만명에 이른다고 강조하면서도 정작 우리는 대응전력을 얼마나 키워왔는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
사이버전력 양성은 비단 한반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미국과 유럽은 물론 중국까지 사이버전쟁을 총성 없이 펼쳐지는 항구적인 전쟁으로 간주하고 관련법 개정과 인력양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가안보와 사이버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대대적인 투자와 인력양성이 시급하다. 미래전은 사이버 세상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당장 500명선에 머물고 있는 국군 사이버사령부부터 보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