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동의보감] 여름철 보양식

월드컵축구 열기가 온 국민의 스트레스를 모두 풀었다. 웬만치 머리가 아프거나 소화가 안 되는 병들은 어느새 없어지고 말았다.그 동안 여름이 온 것을 모르고 지내다 이제야 삼복더위가 시작됨을 실감한다. 무더운 여름을 어떻게 보내야 하나? 여름철에 가장 힘들어 하는 체질은 소양인이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답답하고 안절부절한다. 입안에 갈증이 나기 때문에 찬 것을 많이 먹게 된다. 이러한 소양인들에게 좋은 보양식으로 임자수탕이 있다. 이것은 깻국물에 오리고기와 국수를 넣어서 만든 음식으로 화와 열을 내리고 음기를 보해주는 한국 전통의 음식이다. 평소 몸이 차고 소화기능이 약한 소음인들은 여름이 되면 오히려 따뜻하고 소화도 잘 되는 편이다. 그러나 무더위가 계속되면 점점 힘들어지고 식은 땀이 나기 시작하면 탈진이 되기 시작한다. 기운이 없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모든 일에 의욕이 없어진다. 이렇게 땀이 나며 탈진이 되는 경우에는 전통적으로는 닭고기에 인삼, 황기를 넣은 황기삼계탕이 효과적이다. 먹을 수 있다면 보신탕을 먹는 것도 여름을 나는 방법이다. 땀이 너무 많이 나서 귀찮을 뿐이지 땀을 내면 몸도 개운해지고 몸의 기혈의 순환이 잘되는 사람은 태음인이다. 사우나로 땀을 내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많다. 개운하지만 날씨가 더워지면 느슨해지고 나른해진다. 이때 좋은 보양식으로 즐겨먹던 전통의 삼복음식은 바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육개장이다. 살코기만 넣어 얼큰하게 먹으면 무더위를 싹 가시게 한다. 김수범ㆍ우리한의원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