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만성신부전증 환자 5년새 37% 증가

심평원, 심사결정자료 분석<br>65세 이상은 77%나 급증

만성신부전증 환자가 지난 5년간 3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 만성신부전증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 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11만7,000명으로 지난 2006년의 8만5,000명에 비해 37.1% 늘었다고 18일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증감의 차이가 뚜렷해 30대 미만 환자는 3,530명에서 2,847명으로 20% 가량 줄어든 반면 30∼65세 연령대 환자는 5만3,037명에서 6만3,299명으로 19.3% 늘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환자는 2만8,574명에서 5만616명으로 5년 새 77.1%나 늘었고, 여성(68.2%)에 비해 남성(84.7%) 환자 증가폭이 더 컸다. 신장질환은 어느 정도 진행될 때까지는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피로감, 무기력, 집중력 감소, 식욕 감퇴 등을 유발한다. 수면 중 쥐가 잘 나거나 발과 발목이 붓고, 아침에 눈이 푸석푸석한 경우도 있다. 고혈압ㆍ당뇨병ㆍ고령에서 만성 신장질환이 주로 발생하고 탈수, 혈류량 감소 등도 신장 기능 약화의 주범이다. 만성신부전증은 신장의 사구체 여과 기능이 영구 감소해 신장기능의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고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말기에 이르면 투석이나 신장이식까지 받아야 한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