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주 지구당위원장제 유지

민주당은 19일 당무회의에서 그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던 지구당위원장제 폐지문제에 대해 다수가 반대함에 따라 현행대로 지구당 위원장제를 유지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이평수 부대변인이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대부분 “한나라당 등 상대당은 그대로 있는데 우리당만 지구당위원장을 폐지하는 것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스스로 무장을 해제하는 꼴”이라며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이에 따라 당초 개혁특위가 성안한 당개혁안의 핵심인 지구당위원장제 폐지안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당내 신ㆍ구주류간 갈등도 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당무회의에서 박상천 최고위원은 `당 개혁안의 문제점과 수정의견`이라는 제목의 문건을 당무위원들에게 배포하고 “특위안에는 선거승리를 저해하는 내용이 들어있고, 당내 민주화라는 시대적 목표를 도외시한 내용들이 포함돼있다”고 비판했다. 박 위원은 “(지구당위원장제 폐지로) 선거 6개월전에 지구당위원장이 사퇴하면 모든 입후보자들이 사조직형태를 구성해서 운영할텐데 우리 당 후보가 선관위에 적발될 가능성이 다른 당보다 높아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김성순 의원은 “특위안은 당원과 지구당을 낭만적인 실험의 대상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지구당위원장 폐지안은 상대당이 있는데도 우리 당만 무장해제시키는 총선패배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훈평 의원은 “현재의 지구당사는 지구당위원장이 마련한 것인데 특위안대로 관리위원장제가 도입되면 지구당위원장이 만든 당사와 중앙당에서 만든 당사 등 최소한 2개의 당사가 생기게 된다”며 “지난해 지방선거 경선으로 각 지구당이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을 참조해달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21일 당무회의에서 당개혁안 심사소위를 만들어 개혁안에 대한 축조심의에 착수, 이르면 이달 말 당개혁안을 확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의식기자 miracle@sed.co.kr>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