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산자부 "올 성장률 더 낮아질수도"

유가 전망등 예상 크게 빗나가

올해 경제전망의 전제가 됐던 세계 경제 성장률, 유가 등 주요 지표들이 연초부터 예상에서 크게 빗나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도 낮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3일 한은과 산업자원부 등에 따르면 한은은 올해 원유도입 단가를 배럴당 81달러로 예상했다. 그러나 지난 1월 원유도입 단가는 배럴당 89.6달러로 예측치를 크게 웃돌았다. 원유도입 단가가 이처럼 급등하면서 1월 무역수지는 34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당초 정부가 예상했던 적자 규모인 20억달러선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가 30억달러 적자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초고유가 현상이 계속되면 경상수지 적자액은 한은의 예상치를 능가할 수도 있다. 유가급등으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3.9%에 달했다. 통계청과 한은 등은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7% 정도 될 것으로 내심 기대했으나 실제 수치는 이를 웃돌았다. 더 큰 우려는 세계 경제 성장률이 한은의 예상수준보다 크게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4.6%로 예상했다. 지난해의 5.1%에서 0.5%포인트 낮춰 잡은 것이다. 미국 경제 성장률은 1.8%로 내다봤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4%에서 4.1%로 하향 조정했다. IMF가 지난해 7월 제시했던 전망치 5.2%보다 현저히 떨어진 것이다. IMF는 미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한은은 올해 세계 교역 신장률이 7.3%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지만 미국발 경기부진이 전세계로 확산될 경우 교역 신장률도 낮아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성장률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은이 올해 성장률을 4.7%로 예상하면서 설정한 전제들이 한은의 예측을 크게 빗나감에 따라 정책금리 조정이나 부양책이 동원되지 않는 한 성장률의 하향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