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MB "병영문화 획기적으로 바꿔라"

"구타 원인 조사해 책임 물어야"

MB "병영문화 획기적으로 바꿔라" "구타 원인 조사해 책임 물어야" 김현수기자 hskim@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이명박 대통령은 12일 해병대 총기난사 사건 등 일련의 군 관련 사고들의 원인이 전근대적 병영문화인 것에 대해 "병영문화를 획기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체벌 자체보다는 자유롭게 자란 아이들이 군에 들어가 바뀐 환경에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정신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데 더 큰 원인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고 박정하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국방개혁과 더불어 병영생활 문화를 바꾸는 것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면서 "적당히 하고 넘어가면 되풀이될 수 있는 만큼 반드시 변화가 오도록 하는 게 좋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근대적 병영문화인 구타가 사라지지 않는 배경에 대해 "원인조사를 해서 책임을 확실히 물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이 대통령의 언급은 해병대 사건에 대해 명확한 문책이 있을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오는 8월 대구에서 열리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언급하면서 "국민의 관심을 높이도록 전 부처가 노력하자"며 "대회를 성공시켜야 스포츠 선진국이라고 세계가 인정할 것이다. 유치만 하고 관리를 안 하면 안 된다"고 당부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이제는 성공적으로 올림픽을 개최해야 한다"면서 "이번 올림픽이 경제올림픽ㆍ문화올림픽ㆍ환경올림픽 등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할 때 경제의 지속성장에도 도움이 되고 선진 일류국가로 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유치과정에서도 지원자적 입장이었던 만큼 성공적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국민들이 단합하는 데 조용한 역할을 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대통령의 병영문화 발언이 의도와 달리 전달되며 트위터 등이 들끓었다. 구타 등 체벌이 문제가 아니라 정신력이 원인이라는 이 대통령의 말이 지금까지 군 사고의 원인이 피해를 당한 병사들에게 있다는 뜻으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말이 잘못 전달됐다며 "체벌로 인한 육체적 고통보다는 이것으로 인한 정신적인 모욕감, 당혹감을 못 받아들이고 있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