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시 美대통령 취임사 엇갈린 반응

對北 강경노선 "약화" "지속"<br>정부·정가 파장분석 분주

부시 美대통령 취임사 엇갈린 반응 對北 강경노선 "약화" "지속"정부·정가 파장분석 분주 • 부시 "억압자들은 용서않을 것" • 부시 2기 출범, 취임연설로 본 정책방향 • 해외 전문가 2人 대북정책 전망 • LG전자 PDP TV로 또 현장중계 '눈길' 정부와 정치권은 21일 부시 미국 대통령의 취임사를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향후 우리나라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는 등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이날 취임사가 과거보다는 대북 강경입장이 많이 약화되었다는 분석이 있는가 하면 대북 강경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는 등 엇갈린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날 “제2기 부시 정부의 큰 비전을 제시한 것으로 큰 원칙은 1기 부시 행정부 때와 변하지 않은 것 같다”며 “취임사에서 강조한 ‘자유의 확산’ ‘민주주의의 확산’ 등은 그간 대외정책의 지표로 줄곧 사용되는 개념”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도 이날 집행회의에서 “미국의 외교노선이 동맹국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평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미국이 강경일변의 정책에서 현장의 현실을 감안하는 쪽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냐는 평가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이 “미국은 결코 폭정과 억압을 무시하지 않을 것이고 억압자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대목에 주목, 강경 노선을 견지할 것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부시 대통령이 자유 확산과 폭정 종식을 위해 ‘체제변형’ 등을 강력히 추진할 것으로 느낌을 받았다”며 “북한을 직접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우려되는 대목이 곳곳에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8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지명자가 북한을 ‘폭정의 전초기지’로 지명한 것과 연관 지어서 판단해야 한다는 것. 결국 미국의 분명한 입장은 다음달로 예정된 연두교서를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관계자는 “지난 2002년 연두교서에서 북한을 ‘악의 축’이라고 지명한 만큼 올해 연두교서에서 어떤 입장을 밝힐 지가 중요하다”며 “(연두교서의 내용에 따라)6자 회담 참여 여부 등 북한의 입장도 정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용호 기자 chamgil@sed.co.kr 입력시간 : 2005-01-21 17:4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