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조선의 소리 방송' 홈피 오픈

박형중 통일연 연구위원 전망

북한에서 소요사태가 발생할 경우 군부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후계자 김정은을 제거하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 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집트 군부가 무바라크 대통령의 권력 세습에 불만을 품은 군중시위를 빌미로 무바라크를 제거하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한 것과 비슷한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박형중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ㆍ북한연구학회가 공동 개최한 '북한의 변화 전망과 통일 준비' 토론회에서 "북한에서 동요가 발생하면 김정일ㆍ정은이 원성의 핵심 목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김정은이 친위세력을 육성하려면 기존 세력을 숙청, 빈 자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군부와 갈등을 빚을 수 있다"면서 "김일철ㆍ오극렬ㆍ조명록 등과 같은 선군(先軍)시대의 기득세력 일부가 이미 몰락했다"고 설명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소(INSS) 연구위원은 "중국도 중ㆍ장기적으로 민주화 요구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며, 민주화 진전을 이룰 경우 독재체제를 고수하는 북한을 일방적으로 편들기 어려워져 북한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영선 건국대 교수는 "북한 주민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적극적인 남북교류를 통해 대한민국을 알리는 것"이라며 "영화ㆍ드라마보다 내복ㆍ생리대ㆍ볼펜이 더 유용하다"고 지적했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