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항공제작 단일법인 일부 자본 참여

국내 항공기 제작 3사가 구성키로 한 단일법인인 가칭 '㈜한국항공우주산업'에 대해 정부가 출자전환을 통한 일부 자본 참여 방침을 내부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산업자원부와 삼성, 대우, 현대 등 항공 3사 임원급 관계자들은 지난 13일 항공단일법인 구성과 관련한 실무 회의를 갖고 정부의 출자 규모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 등 항공 3사는 업체당 1천억원씩 3천억원을 자본금으로 투자하되 자본금 3천억원의 4배인 1조2천억원을 부채로 단일법인에 떠 안기는 방안을 제시했다. 항공 3사는 단일법인의 부채 1조2천억원중 2천억원을 정부가 산업은행 등을 통해 출자전환 형식으로 투자해 주면 자본금이 5천억원, 부채가 1조원이 돼 단일법인의 부채비율을 2백%로 유지할수 있다는 주장이다. 반면 정부는 항공 3사가 1천억원씩 3천억원을 투자하되 단일법인 부채를 자본금의 3배인 9천억원 정도로 하고 이중 1천억원을 정부측이 출자하면 자본금 4천억원, 부채 8천억원으로 부채 비율을 2백%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항공 3사는 이에 따라 출자 규모에서 양자간 차이가 난 1천억원에 대해선 산업은행 등이 우선주 형식으로 출자전환한 뒤 현재 진행중인 외자 유치 작업이 성사되면 보통주로 바꿔 변제하겠다는 대안을 추가로 제시해 귀추가 주목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자체 방안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항공 산업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의 규모든 출자 전환의 필요성은 인지하고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규모에 관해서는 계속 협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