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간 해외간접투자 급증

보험ㆍ증권ㆍ투신사와 일반투자자들의 작년말 현재 해외간접투자액이 114억달러로 2년사이 2.8배나 급증했다. 이는 국내에선 투자할만한 장기채권이 적은데다 금리가 낮아 높은 수익성을 쫓아 자금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민간부문의 해외간접투자동향`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민간(은행을 제외한 보험ㆍ증권ㆍ투신사와 일반투자자들)의 해외 간접투자규모는 114억달러로, 작년말(69억달러)에 비해 65.2%, 2000년말(41억1천만달러)보다 177.3% 각각 증가했다. 지난해 민간의 전체 해외간접투자 증가액(45억달러)중 보험사 투자증가액이 32억달러(70.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생명보험회사의 보험상품은 만기가 평균 15~20년의 장기이기 때문에 보험료로 받은 돈을 장기채권에 투자해야 하지만 국내에는 만기를 맞출만한 장기채권이 많지 않다”며 “이러한 만기 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보험사들의 해외 채권투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1~10월중 생보사의 운용자산 증가액은 16조원에 달했지만 만기 10년짜리 국고채 발행액은 6조원으로 턱없이 모자랐다. 한편 증권ㆍ투신사의 해외 간접투자액은 지난해 7억2,000만 달러, 공기업과 일반기업, 개인 등 일반투자가는 6억달러가 각각 늘어났다. 이처럼 민간부문의 해외투자가 늘어난 데는 보험업계의 특수한 사정 외에도 원ㆍ달러 스와프거래와 선물환거래가 확대돼 해외투자로 인한 환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은 관계자는 “해외간접투자시 장애가 되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헷지(위험회피)거래가 크게 늘어났다”며 “특히 산업은행과 외국은행 국내지점들이 중개하는 원ㆍ달러 스와프거래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화용기자 shy@sed.co.kr>

관련기사



성화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