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기업 10곳 중 8곳, 내년 경기 정체 혹은 악화 전망

중기중앙회, 2015년 경제성장률은 3.4%로 예상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내년에는 경기가 더욱 나빠지거나 올해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4일 중소제조업 1,365개를 대상으로 ‘새해 중소기업 경기 및 경제환경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업체 가운데 78.9%의 업체가 내년도 경기가 올해와 같은 수준이거나 더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밝혔다. 올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는 응답은 45.8%,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33.1%로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은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는 셈이다.


2015년 중소기업 업황전망건강도지수(SBHI)는 전년(96.8)대비 5.1포인트 내려 앉은 91.7을 기록했으며, 소비·투자심리 위축, 엔저현상 지속 및 중국 경기 둔화 등으로 내년에도 경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내년에 국내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장 큰 요인으로는 ‘소비·투자심리 위축’(48.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가계 부채(16.6%), 환율 불안정(11.7%) 순으로 응답했다.

관련기사



새해 중소기업의 경영 애로 사항으로는 내수 침체(44.4%)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인건비 상승(13.5%), 업체간 과당경쟁(10.3%)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는 54.1%에 달하는 기업들이 ‘내실경영’을 목표로 삼았으며, 기술경영(17.0%), 안전경영(13.5%)을 꼽았다.

중소기업들은 내년도 은행권의 대출금리 수준이 평균 4.3% 정도일 것으로 예측했으며 적정한 대출금리 수준은 3.9%라고 응답했다. 중소기업들은 현 수준보다 낮은 대출 금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얘기다. 또한, 내년도 중소기업이 예상하는 원·달러 환율은 1,074.3원으로 나타났으나, 채산성 유지를 위한 적정 환율은 1,082.3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중소기업들은 내년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성장률을 3.4%로 전망했다. 이는 IMF(4.0%), 한국은행(3.9%), LG경제연구원(3.9%), KDI(3.5%) 등 타 기관에 비해 낮은 수치로, 중소기업들이 전망하는 경제 상황이 훨씬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