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나라 전염성·기생충 질환 사망자 많아"

의료정책硏 OECD 보건통계 분석…사망자 OECD 평균의 2배

우리나라가 전염성 질환이나 기생충 질환으로인한 사망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료정책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보건의료 통계분석-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보건통계 자료'에 따르면 OECD 국가 가운데 우리나라의 사망률은 최상위권에 속했다. 2002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전염성.기생충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에서우리나라는 15.9명으로 포르투갈(16.1명)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았다. OECD 평균은 7.5명으로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었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김치 파문'의 경우 김치에서 검출된 기생충이 인체에 해가없는 미성숙 수정란으로 판명된 만큼 이 같은 결과와는 무관한 것으로 연구소측은풀이했다. 전염성.기생충 질환 사망자는 캐나다가 가장 적어 10만명당 2.6명에 불과했고,이어 슬로바키아(3.6명), 오스트리아.헝가리(각 4.5명), 그리스(4.9명), 핀란드(5명)등의 순이었다. 이에 반해 스페인(11.3명), 일본(9.4명), 네덜란드(8.1명) 등은 OECD 평균치를 상회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1985년 기준으로 10만명당 사망자가 30.2명에 달한 데비춰, 단기간 내에 위생과 환경 개선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있다. 당시 사망자가 10명을 넘은 곳은 멕시코(76.9명)와 폴란드(11.4명), 미국(10.7명), 일본(10명) 정도였다. 멕시코는 이후에도 사망자가 계속 많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2002년 조사 결과에는 포함되지 않는 등 정확한 통계치가 나오지 않고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