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쇼크] 정부.채권단 파문진화 나서

정부와 채권단은 확산되는 현대그룹 파문을 진정시키기 위해 긴급 진화작업에 나섰다. 재무상황 등에 대해 긴급점검에 들어가는 한편, 파문의 핵심인 「현대투신」에 대한 적극적 지원대책을 표명했다.정부와 채권단은 우선 지난 26일에 이어 27일에도 현대 계열사의 주가하락이 지속되자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을 통해 긴급히 자금상황을 체크했다. 외환은행 고위 관계자는 『단기차입금이 총차입금의 22.49%에 불과한데다, 해외금융기관으로부터의 외화차입금(50억달러 규모) 구조에서도 1년미만이 25.4%에 그쳐 급격한 상환압력만 없으면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외환은행은 특히 현대사태를 긴급 진화하기 위해 합작 파트너인 코메르츠은행의 드로스트 여신담당부행장이 직접 27일 한국은행 기자실에 들러 『현대는 문제없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금융시장의 불안이 현대그룹의 실제 재무상황보다 확대·왜곡돼서 포장되고 있다고 판단, 증시교란 세력에 대한 실태조사도 병행키로 했다. 이에따라 금감위는 지난 26일 D증권 투자전략팀이 현대계열사 상황에 대해 자의적으로 해석한 자료를 증권정보사이트에 띄운 점을 파악, 경위조사에 들어갔다. 지난해 투신사태 당시 금감위가 벌였던 경위조사와 비슷한 성격. 정부와 채권단은 특히 현대투신에 대한 그동안의 소극적 태도에서 벗어나 지원방향을 전향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이용근(李容根)금감위원장은 현대투신에대한 지원방침이 제외돼 지난 26일 증시에서 대주주인 현대전자 등의 주가가 급락하자 『필요한 경우 현대투신에 대한 유동성 지원에 나설 수 있다』고 밝힌데 이어, 27일 오전에는 이익치(李益治)현대증권 회장을 집무실로 직접 불러, 유동성 지원과 연계한 현대측의 고강도 자구노력을 요구했다. 李위원장은 현대그룹에 대한 시장의 신뢰회복을 위해 경영권문제 등 지배구조문제를 조속히 매듭지을 것을 촉구하고, 자구노력을 살펴 현대투신에 대한 자금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관련, 현대투신에 대해 주인이 있는 재벌계열사인 점을 감안, 공적자금(정부출자 또는 증자)은 지원하지 않되 1조원 규모의 증권금융채를 발행 필요할 경우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도 27일 긴급히 현대투신측에 정상화계획서를 제출토록 요청했으며, 실태를 파악 다른 계열사에 문제가 파급될 가능성이 있다고판단될 경우 별도 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다. /김영기기자 YGKIM@SED.CO.KR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4/27 20:18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