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韓·美·中, 북핵·6자회담 외교전

26일 中 우다웨이 대표 방한<br>美 카터 前대통령은 北 방문

우다웨이 방한, 지미 카터 방북, 한미 차관보 전략대화와 2+2(외교ㆍ국방)차관보급 회의. 북핵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한 당사국들의 26일 일정표다. 이에 따라 외교가에서는 6자회담 재개의 추동력을 잃지 않으려는 중국 측 움직임에 한미가 공동대응을 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깜짝 제의나 합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22일 정부가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의 26일 방한 사실을 확인하자 복수의 외교전문가들은 우 대표의 방한을 특히 주목하고 있다. 이들은 또 나흘 일정(26~29일)의 우 대표 방한과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한ㆍ미ㆍ북ㆍ중의 외교적 이벤트를 유심히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우 대표의 '방한 보따리'에 무엇이 담겨 있느냐에 따라 회담 재개 흐름이 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북한의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와 비핵화 진정성 확인 등을 회담의 전제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이에 따라 우 대표는 지난주 북ㆍ중 협의를 바탕으로 이번 방한을 통해 한국의 구미를 당길 만한 내용의 제안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요구해온 비핵화 조치 가운데 영변 핵시설과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접근 허용 등이 거론되며 남북 비핵화 회담을 베이징(北京)에서 열자는 식의 제의도 예상된다. 같은 날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전직 국가수반 모임인 '엘더스그룹' 멤버 4명의 방북도 주목거리다. 특히 카터 전 대통령 일행의 방북에 앞서 정부가 이들에게 '천안함ㆍ연평도 입장'을 설명한 만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면담이 성사되면 정부 입장이 전달될 것이 분명하다. 동시에 한국과 미국도 워싱턴에서 '한미 외교 차관보 전략대화와 외교ㆍ국방 2+2 차관보급 회의'를 열고 북핵 문제 등에 대해 협의를 가진다. 그러나 정부의 대응기조는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북한의 진정성 확인이라는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중국이 전달하는 '내용'에 따라 대화 국면에 호응할 수 있다는 유연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어떤 경로로 제안이 오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 내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당국자는 "외교적으로 여러 이벤트가 있다고 해서 하나의 방향(회담 재개)으로 흘러간다고 단정하면 안 된다"며 "현실은 더 비이성적이고 복잡하며 앞뒤가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신중을 기했다. 반면 중국 측의 메시지가 정부의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오히려 비핵화 회담을 앞둔 남북 간 대화 분위기를 해칠 수 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