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계 증권사 CEO에 듣는다] 임석정 JP모건 서울지점 대표

“자산운용 부문 투자 확대할것<BR>한국 M&A시장 매물적어 PEF로 떼돈 벌 시기 지나 자산운용·파생상품에 기회<BR>주식·채권등 금융 서비스 원스톱제공이 JP모건 강점”


[외국계 증권사 CEO에 듣는다] 임석정 JP모건 서울지점 대표 “자산운용 부문 투자 확대할것한국 M&A시장 매물적어 PEF로 떼돈 벌 시기 지나 자산운용·파생상품에 기회주식·채권등 금융 서비스 원스톱제공이 JP모건 강점”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co.kr 관련기사 • ● JP모건은 어떤 회사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계 증권사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외국계 증권사는 짧게는 수십년, 길게는 100년 이상 축적한 선진금융 노하우를 기반으로 국내 대규모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 등을 주도하고 있다. 주요 외국계 증권사의 최고경영자(CEO)들의 한국 금융시장에 대한 평가와 전망, 그리고 선진노하우를 들어본다. “시중에 자금은 넘쳐나는 데 투자할 곳은 마땅치 않습니다. 이에 따라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나는 사모투자전문회사(PEF)들도 투자에 실패해 도산하는 곳이 생길 것입니다.” 임석정 JP모건 서울지점 대표는 “한국의 인수합병(M&A) 시장은 매물부재에 따라 매도자가 가격을 주도하는 ‘셀러 마켓(Seller’s market)’으로 바뀌고 있다”면서 “앞으로 매수자들이 앞 다퉈 높은 가격을 제시해 적정가치보다 비싸게 기업을 인수하는 사례가 많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그 근거로 최근 한화그룹이 보유한 한국종합에너지(KIECO) 지분 매각을 주간한 경험을 예로 들었다. “KIECO가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지만 성장성이 그리 높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무려 33개에 달하는 기업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는 것. 이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매각대금이 높게 책정됐다는 설명이다. 임 대표는 “한국 내 PEF 투자를 위해 대기 중인 국내자금과 해외자금이 각각 5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레버리지를 이용해 이의 5배까지 투자가 가능하다고 봤을 때 총 5,00억달러(50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대기 중인 셈”이라고 말했다. 반면 “외환위기 이후 M&A 시장에 매물로 쏟아져나왔던 기업들은 대부분 주인을 찾고 거의 남아 있지 않아 투자할 곳이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에서 부실채권이나 사모투자전문회사(PEF)로 떼돈을 벌 시기는 지났다는 게 임 대표의 생각이다. “앞으로 자산운용 및 신용파생상품 쪽에서 큰 기회가 발생할 것입니다. 한국의 자산운용회사들을 보면 전체 수탁자산 중 90% 이상이 채권입니다. 이는 아직 비중이 낮은 주식 부문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연금제가 도입되는 것도 자산운용시장을 더욱 확대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초에는 자산운용사인 JF에셋매니지먼트를 국내에 설립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100년 이상 금융기법을 축적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지닌 외국계 증권사들이 토종업체들보다 ‘한수 위’라는 건 잘 알려진 사실. 하지만 외국계 증권사간에도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JP모건만이 차별화할 수 있는 강점은 무엇일까. “주식ㆍ파생상품ㆍ채권ㆍ론ㆍ리스크매니지먼트 등 모든 금융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하는 ‘원 스톱 서비스(one-stop service)’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M&A를 중개하면서 파이낸싱도 함께 해주는 것입니다.” 임 대표는 이를 위해 “기업이 문제를 깨닫기 전에 그 해결방법까지 만들어서 찾아간다”고 말했다. 최근 일부 외국계 펀드가 세무조사를 당하는 등 외국자본에 대한 비판이 높아진 것과 관련해서는 “돈에는 가치판단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모두들 한국 투자를 꺼렸던 외환위기 직후 리스크를 안고 들어올 때는 아무 얘기도 없더니 돈을 벌었다고 하니까 이제 와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 마지막으로 국내 금융기관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서도 그는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각자 잘할 수 있는 역할이 있습니다. 한국 금융기관은 외국계에 비해 국내 상황 및 개별 기업의 신용도, 기존 거래상황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훨씬 높습니다. 이를 적극 활용해 잘하는 분야에 특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 철저한 성과급제를 도입해 인력 유출을 막아야 할 것입니다.” 입력시간 : 2005/06/02 18:29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