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바뀌어 선량(選良)으로 여의도에 본격적으로 첫발을 디딘 안 의원은 대선 후보급 거물 정치인으로 말 한 마디, 발걸음 하나도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지만 '무소속'이라는 한계는 분명해 보인다. 민주당의 한 중진의원은 지난달 말 국회 본회의장에서 안 의원을 대면한 첫 느낌을 이렇게 전했다. "혼자 쭈뼛쭈뼛해 하는 모습이 확연하더라."
실제 안 의원은 무소속으로서 정치행보의 첫 출발부터 고전을 면치 못했다. 교수이자 IT기업 최고경영자 출신인 그는 당초 1순위 상임위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원했지만 막판 보건복지위원회로 틀어야 했다. 이마저도 민주당의 양보가 있어 가능했지만 제동이 걸린 상태다. 민주당이 적극 돕지 않으면 한동안 상임위 미아 신세를 면치 못할 처지다.
무소속 한계론은 향후 의정활동에서 더욱 도드라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19대 의원 300명 중 무소속은 강창희 국회의장을 제외하면 7명이지만 자의에 의한 무소속 의원은 드문 것이 현실이다. 재선의 한 의원은 "정보기술이 첨단을 걷는 시대에 누구도 생각지 못한 법안은 사실상 별로 없다"며 "좋은 정책을 갈무리해 국회 입법을 거쳐 민생을 챙길 수 있느냐는 조직과 추진력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이 현재의 쭈뼛함을 버리지 않은 채 '나 홀로 정치'를 계속한다면 의정활동은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결국 '300분의1'의 평범한 국회의원 중 한 명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안 의원 역시 누구보다 무소속의 한계를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연구소나 신당 창당 등의 세력화를 구상하는 배경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만만치 않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안 의원 주변의 인물만으로는 전국 정당을 갖추는 게 질적ㆍ양적으로 턱없이 부족하다"며 "특히 지방에 내려갈수록 인물난이 심한데 이를 메우겠다고 '한물간' 인물을 끌어들였다가는 '새 정치'라는 구호가 한방에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민주주의를 채택한 대부분의 나라가 대의정치를 기초로 하고 있고 대의정치는 정당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무소속인 안 의원이 '정당의 중요성'을 새삼 부각시키고 있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