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친박계'의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이 제시한 "대법원 헌법재판소 등 7개 독립기관을 세종시로 보내자"는 절충안은 검토해볼 가치가 충분한 건설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 7개 기관의 세종시 이전은 정부 부처에 비해 정부 분할에 따른 비효율이 작기 때문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한마디로 가치 없는 이야기"라고 일축했지만 절충안은 세종시 원안과 수정안을 놓고 입장이 팽팽히 맞선 세종시 문제를 풀어갈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도 필요하면 고친다. 세종시 원안도 영구불변이라는 법은 없다. 정부가 수정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여당인 한나라당 의원이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이자 권리이다. 특히 당 중진의원이 세종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절충안을 제시한 것 자체는 평가 받을 만하다. 요즘 한나라당 친이계와 친박계의 세종시 문제를 둘러싼 대립은 가시 돋친 설전이 오가는 감정싸움으로 비치고 있다. 김 의원의 절충안은 이같이 마주보고 달리는 형국인 한나라당 내 갈등을 풀어보려는 고심의 산물로 여겨진다.
같은 당에서 세종시와 같은 중대한 국가적 과제를 놓고 대화와 토론이 안 되는 것은 말도 되지않는다. 같은 당이라고 하기에 민망할 지경이다. 세종시 원안이나 수정안, 김 의원이 제시한 절충안 등을 놓고 소속의원 전부가 한자리에 모여 어느 안이 정말 국가에 도움이 되는지를 비교 검토할 때가 됐다. 합리적인 기준과 잣대에 의한 대화와 토론은 없고 비방의 목소리만 높이는 것은 무책임하다
오는 22일로 예정된 의원총회에서는 결말을 내야 한다. 전부 모여 세종시 원안과 수정안 및 절충안에 대해 충분히 논의해 결론을 끌어내기 바란다. 친박계는 의총 참석 거부는 물론 당론이 채택돼도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어 순탄치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처음부터 선을 긋고 토론과 대화를 거부할 것이 아니라 의견을 개진하고 다수의 선택을 따르는 것이 민주정당의 모습이라고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김 의원의 절충안은 최대의 공약수를 찾는 돌파구로 활용할 만하다. 한나라당이 세종시 문제로 갈등과 분열을 계속할 경우 공멸할 가능성도 있다. 한나라당은 토론정치를 살려 여당다운 모습을 되찾는 데서부터 세종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