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CJ 비자금 유입 의혹 차명계좌 추적

검찰, CJ-제일제당 주식거래·회사분할 경위 파악… 예탁결제원도 압수수색<br>이르면 주내 이재현 회장 소환 가능성

CJ그룹의 비자금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비자금 유입이 의심되는 계좌의 실제 주인과 그룹의 연관관계를 입증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27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윤대진 부장검사)는 지주회사인 CJ와 계열사인 CJ제일제당의 주식거래 내역을 분석하면서 주요 주주의 변화와 주식 또는 출자지분의 금액 변동 여부를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4일 한국거래소를 압수수색해 CJ와 CJ제일제당의 2004년ㆍ 2007년ㆍ2008년 등 3년치 주식거래 내역을 넘겨받았다.


검찰은 거래소 자료에서 CJ그룹이 외국계 투자를 가장한 비자금으로 계열사 주식을 사고팔면서 비자금 규모를 늘린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 자산운용사인 T사 등이 2004년ㆍ2007년ㆍ2008년에 CJ와 CJ제일제당 주식을 대량 매수했다가 단기간에 매도하는 과정에서 국내외 비자금이 동원됐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의혹을 확정할 수 없지만 앞으로 분석을 통해 밝혀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3년 동안의 주식거래 자료를 토대로 계좌 주인이 누구인지, 어떤 증권사 창구를 통해 거래 주문이 많이 이뤄졌는지를 파악하면 해당 계좌주와 CJ그룹 사이의 관계를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식매매에 동원된 계좌의 차명 여부와 자사주 대량 매매에 동원된 자금의 원천과 차익에 대한 과세 여부 등도 검찰이 밝혀낼 대상이다.

검찰 수사에서 CJ그룹 비자금 '금고지기'로 알려진 그룹 재무2팀장 이모씨가 이재현 CJ그룹 회장에게 비자금 조성 상황을 보고한 편지 등 비자금 관련 '물증'이 속속 나오고 있지만 아직 증거능력을 입증할 수 없는 터라 차명계좌 확인에 수사를 집중하며 이 회장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은 특히 CJ그룹이 2007년 CJ와 CJ제일제당으로 분할되는 과정에서 주가 변동을 통해 이 회장이 이득을 챙겼는지 등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 지난 2007년 이 회장은 자신이 갖고 있던 제일제당 주식 가격만큼 신규 발행한 CJ 주식과 맞바꾸는 '주식 공개매수'를 진행하면서 자신의 CJ 지분율을 19%에서 43.3%로 늘렸다.

관련기사



검찰은 2004년에도 해외 자산운용사 등을 통한 대량 매매로 CJ와 CJ제일제당의 주주·지분 변화가 컸던 것으로 보고 관련 내역을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비자금의 규모와 흐름을 파악하면서 비자금이 정ㆍ관계 로비로 활용됐는지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비자금의 흐름과 용처 등을 추적하고 있다"며 "해외 비자금의 규모와 주가조작에 활용했는지 등이 앞으로 수사를 해야 할 사항"이라고 전했다.

검찰은 차명계좌 분석과 비자금 흐름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면서 CJ그룹 핵심 인사 등을 소환할 방침이다. 특히 검찰 안팎에서는 차명계좌에 대한 분석 작업의 속도에 따라 이르면 이번주 안에 이 회장에 대한 소환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