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굿샷클리닉] 싱글로 가는 벙커샷

[굿샷클리닉] 싱글로 가는 벙커샷벙커 샷에서 백스핀을 걸려면 샌드웨지의 블레이드(헤드의 날카로운 부분)를 볼 밑으로 넣어 모래를 얇게 폭발시켜야 한다. 싱글골퍼라면 적어도 2㎙ 거리에 내보내야 하고 두번에 한번 정도는 1㎙이내 거리에 붙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백스핀이 걸리고 볼이 하늘에서 머무는 체공시간이 긴 볼을 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벙커 샷을 할 때는 몸 전체로 자세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흔히 볼의 1㎝ 앞서 임팩트하라고 하는데 솔의 폭과 두께만큼 바로 앞을 치면 블레이드는 자연히 볼 밑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기술을 지금까지는 쳐 올리는 어프로치 샷과 같은 요령으로 해 왔을지 모르나 앞으로는 예리하게 블레이드를 볼 밑으로 쳐 넣는 기술을 터득해 두는 것이 좋다. 볼을 멈추게 한다고 해서 손목으로 가볍게 떠올리려고 하기 쉬우나 이렇게 하면 볼이 떠 오르기는 커녕 앞에 툭 떨어지는 미스 샷을 낳는다. 이같은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몸 전체로 재빠르게 팔로 쳐내야 한다. 백스핀이 걸려 볼이 멈추기 시작하면 거리감도 안정되어 가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은 백스핀의 회전량이 아니고 스윙의 속도다. 즉 클럽헤드의 무게감을 느끼면서 천천히 스윙하는 것이 이상적인 샷을 가능하게 한다. 때문에 클럽의 무게나 백 솔(헤드 뒷쪽 바닥)의 두께가 자신의 스윙감에 꼭 맞아야 한다. 솔의 두께에 따라 느낌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종종 프로들 가운데 솔을 깎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자기의 느낌에 맞추기 위해서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솔을 깎아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손목을 효과적으로 쓰는 골퍼는 임팩트때 컨트롤도 좋기 때문에 얇은 헤드라도 굿샷을 날릴 수 있지만 손목을 쓰지 않거나 뻣뻣한 골퍼는 두터운 편의 웨지가 더 적당하다. 그립의 두께도 중요하다. 손목의 요령이 좋은 사람이라면 가는 그립이, 뻣뻣한 사람은 굵은 그립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는 약간 강한 것이 맞추기 쉽고 방향성도 좋다. 이보다 중요한 것은 자기 샌드웨지의 로프트를 전적으로 믿고 의지하는 것이 벙커에서 폭발 샷의 전제조건이다. 즉 솔의 두터운 부분을 믿고 모래를 쳐내겠다고 마음먹었다면 일단 50%는 성공한 것이다. 이때 클럽 페이스의 블레이드가 항상 볼 밑으로 얇게 파고 들어가는 간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만형 프로 입력시간 2000/08/21 17:24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