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대상선 다목적 유상증자에 '빨간불'

현대그룹 건설인수·상선 경영권방어 차질빚나<br>현대상선 "절차적 문제일 뿐"…대책 마련중

현대상선이 이달 중순 실시할 예정인 유상증자에 '경고등'이 켜졌다. 금융감독원이 3일 "현대상선 유상증자 신청 과정에 문제점이 있다"며 승인을 보류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대상선측은 "아직 유상증자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금감원이 지적한 대로 문제의 소지를 없애면 된다"는 입장이다. ◇ 현대상선 유상증자는 왜? = 현대상선으로서는 이달 중순 예정된 유상증자가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유상증자는 현대중공업그룹으로부터 경영권을 방어하고 현대건설 인수를 위한실탄 확보의 두가지 목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현대상선은 유상증자를 통해 3천만주를 늘린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증자한 3천만주중 20%인 600만주가 우리사주로 들어오기 때문에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할수 있는 우리사주는 4.45% 가량이 늘어나게 된다. 현대그룹 계열사도 유상증자에 참여하게 되지만 현대중공업그룹이나 현대중공업그룹에 우호적인 KCC도 유상증자에 들어오면 이를 통한 양측의 지분 변화는 없다. 결국 현대중공업그룹이 현대그룹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유상증자에 참여할 경우현대상선 유상증자를 통해 우리사주가 4.45% 증가하는 효과는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현대상선 유상증자는 4조원 이상 거론되는 현대건설 인수를 위한실탄 확보 차원에서도 현대그룹에 긴요한 사안이다. 현대건설이 현대상선 지분을 8% 이상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는 그룹 외형 확장뿐만 아니라 현대상선 경영권 방어에도 필요하다. ◇"유상증자에 문제없나" = 금감원의 유상증자 승인 보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현대상선은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어차피 아직 정식으로 유상증자 신청서를 제출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문제점이지적된 부분을 보완한 후 신청서를 내면 된다는 것이다. 금감원의 지적 사항은 두가지로 요약된다. 유상증자의 목적이 '기타 투자' 등으로 명확치 않다는 점, 실권주 인수 주체를 계열 금융사인 현대증권으로 설정해 편법자금지원의 의혹이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현대상선은 유상증자의 목적을 '현대건설 인수 자금 마련' 등으로 구체화하고 실권주 배정 방식을 현대증권으로 가지 않도록 하는 제3자 배정방식을 도입하는 등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상선이 이 같은 선택을 할 경우 일단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된 자금은 반드시 현대건설 인수를 위해서만 쓰여져야 해 자금 운영이 빡빡해질 수 밖에 없다. 당장의 경영권 방어를 위해 자금을 동원해야 할 경우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된돈은 쓰기 힘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권주 배정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현대상선은 크게 걱정할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유상증자 과정에서 실권주가 대량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데다 실권주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실권주가 현대증권에 가지 않도록 하면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