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물가 잡기위해 위안화 절상 안해"

원자바오 "고용·기업 영향 고려 점진적 절상"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14일 "위안화 환율체계를 시장 수급을 반영하는 유연한 방식으로 개혁해나가겠다"며 "하지만 위안화는 국내 고용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절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원 총리는 이날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 직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가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위안화는 지난 1994년 환율개혁을 시작한 후 이미 달러화 대비 57.9%가 절상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이 당면한 최대 경제과제인 물가를 잡는 차원에서 위안화를 절상하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원 총리는 물가를 통제하기 위해 위안화 절상을 가속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의 물가상승 압박은 일부 국가의 양적완화ㆍ초저금리 정책과 이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국제적인 성격에 기인한 측면이 있다"며 미국 등 주요 국가의 통화정책을 비판했다. 원 총리는 "올 상반기 물가상승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며 "정부의 곡물 비축량 방출 확대, 유통 구조 개혁, 법률적ㆍ행정적 수단을 동원한 가격 통제 등으로 물가를 안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제12차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2011~2015년) 기간 연평균 성장률을 7%로 낮춘 것은 중국이 그동안의 양적 성장에서 질과 효율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추구하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성장 속도가 빠르면 고용에 도움이 되지만 물가상승 압박이 가중되는 부작용이 있고 성장 속도가 너무 더디면 고용 부진으로 경제가 쇠퇴하기 쉽다"며 "중국 경제는 이제 성장과 물가ㆍ고용 등 3자 사이의 균형을 잡아가야 하는 어려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원 총리는 "중국은 질적 성장 시대를 맞아 중국 경제가 장기적으로 안고 있던 도농ㆍ빈부 격차 확대 등 내부의 불균형, 부조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최대의 적은 '부패'"라며 "인민이 정부를 비판, 감독할 수 있는 제도 개혁과 부패 척결 토양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원 총리는 이어 "정치체제를 개혁하지 않으면 경제 개혁과 발전을 이룰 수 없는 것은 물론 이미 취득한 경제성과물도 잃을 수 있다"며 "정치와 경제 개혁을 조화롭게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