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일부기업, 워크아웃후 급여인상

일부기업, 워크아웃후 급여인상 민주 조재환의원 자료공개 대기업들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들어간 이후 임원들의 급여를 대폭 인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기업들은 1차 경영정상화 실패로 2차 채무조정이 진행 중임에도 워크아웃 이후의 연봉 인상폭이 50%를 넘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조재환 민주당 의원이 16일 내놓은 「금융구조조정의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정책자료집에 따르면 신송산업·유진관광·한국시그네틱스·신호유화·동국무역 등은 지난 7월 기준으로 워크아웃 이전보다 임원들의 급여가 5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송산업은 인상률이 137%에 달했으며 2차 채무조정이 진행 중인 신호유화도 전반적인 급여수준은 낮지만 63%의 인상률을 기록했다. 퇴출된 우방도 워크아웃 이후 29.4%를 인상했다. 기업구조조정위원회는 그동안 워크아웃을 관장하면서 대상기업 중 경영성과가 호전되는 곳의 임직원들에게는 인센티브를 주도록 독려해왔다. 이에 따라 실적호전에 따라 조기종료 대상이 된 업체들의 급여인상은 상당폭 실현돼왔다. 그러나 급여인상폭이 큰 업체 중 우방처럼 경영부진이 계속된 기업도 다수 포함돼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김영기기자 입력시간 2000/10/16 18:19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