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인 환란이후 50兆 순매수

현재 시가총액 195兆

외국인투자가들이 외환위기 이후 한국 주식시장에서 무려 50조원어치의 주식을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난 92년 자본시장 개방 이후 누적 순매수액은 61조3,000억원이며 현재 시가총액은 195조8,000억원에 이르고 있다. 2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에게 자본시장이 개방된 92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외국인의 누적 순매수(지난달 말 기준)는 61조3,69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가운데 외환위기 직후인 98년부터 현재까지 순매수액은 49조7,800억원에 달해 이 기간 외국인의 매수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외국인은 증시가 고점을 찍고 하락하기 시작했던 2000년 11조3,800억원, 2003년 13조7,600억원, 2004년 10조4,800억원을 순매수했다. 이처럼 외국인들의 ‘바이 코리아’가 지속되면서 올들어 주가가 급등해 2000년 1월4일 이후 5년여 만에 처음으로 종가기준 1,000선을 넘었고 이들의 보유주식비중은 42.3%, 시가총액으로는 195조8,000억원에 달했다. 외국인 보유주식의 시가총액에는 장내 매수뿐만 아니라 직접투자와 장외매수가 포함돼 단순하게 현 시가총액에서 누적 순매수분을 뺀 134조5,000억원의 평가익을 내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상당 부분이 장내 매수분의 평가차익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외국인들은 주가 상승에 따른 평가익뿐만 엄청난 환차익도 누리고 있다. 지난해 평균 환율은 1,143원, 올해는 1월 평균이 1,038원이고 2월에는 훨씬 떨어졌다. 지난해 평균에 비해 올해 환율은 10% 정도 하락한 상태다. 지난해에 10조4,800억원을 순매수한 외국인들이 평균 환율에서 주식을 샀다고 가정할 경우 1조원 이상의 환 평가차익을 올리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