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커피전문점 지방으로 가요~

대전·대구등선 수도권 매출 못잖아<br>파스쿠치·할리스 가맹점 잇단 모집

"요즘은 지방에 여는 매장이 수도권 보다 더 많습니다." 24일 만난 국내 토종 커피전문점 마케팅팀 간부의 말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매장이 밀집해 있던 커피전문점들이 지방 상권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상권이 큰 지역의 경우 수도권 못지 않게 수익성이 좋아 커피전문점들이 구미를 당기게 하고 있다. 실제 A 커피전문점의 경우 서울 52개 매장의 평균 매출이 3억4,166만원인데, 부산(18개)과 경남(15개)은 각각 4억100만원, 3억8,900만원으로 장사가 더 잘 되고 있다. 대전(15개)과 대구(11개)도 3억2,000만원, 3억 1,300만원으로 서울 못지 않다. 반면, 경기(20개)는 2억 4,600만원으로 이들 지역보다 오히려 수익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맹사업을 하고 있는 커피전문점들도 각 지역 역세권을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파스쿠치는 올해 부산과 대구, 광주 지역에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올해 매장을 130개(누적)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라며 "8년 동안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매장을 늘렸는데 이제는 지방광역시에도 많이 오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직영점과 가맹점을 함께 운영하는 할리스커피는 올해 54개 가맹점을 모집할 예정이다. 현재 접수된 가맹 문의중 70% 가량이 지방에 있는 개인사업자들이어서 35개 정도는 지방 역세권에서 문을 열 것으로 예상된다. 엔제리너스커피는 올해 말까지 37개의 매장을 전국에 골고루 배치할 예정이다.이를 위해 최근에는 서울과 광주, 대구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직영체제인 스타벅스도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에 매장을 설립한다는 원칙아래 전국적으로 매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