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SK "따라올테면 따라와봐"

'업계 3위' 美 마이크론 20나노 D램에 1조 투자 '추격끈'

"이미 양산체제… 한발 앞서 있다"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20나노 미세화 공정을 적용한 D램 메모리 반도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1조원을 투자한다. D램 분야 1·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추격하기 위해 시동을 건 셈이다.


11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일본 히로시마 공장에 1,000억엔(약 9,500억원)을 투자해 내년 8월까지 모바일용 D램 칩 생산량을 20% 늘릴 예정이다.

관련기사



히로시마 공장은 마이크론이 지난해 합병한 일본 반도체업체 엘피다의 생산기지다. 마이크론은 생산라인 신설이 아니라 반도체 칩의 회로선폭을 기존 30~25nm(1nm는 10억분의1m)에서 20나노로 줄이는 '공정전환'을 통해 증산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회로선폭이 25나노에서 20나노로 줄어들면 1장의 웨이퍼(반도체 칩을 만드는 원판)에서 얻는 칩 생산량이 20% 늘어난다. 또 이 같은 공정 미세화가 진행될수록 칩의 크기는 작아지면서도 전력소비량은 감소하고 처리속도는 훨씬 빨라지는 장점도 있다.

D램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는 마이크론은 미세공정 전환 속도가 가장 늦다. 삼성전자는 올 3월부터 PC용 D램을, 지난 9월에는 모바일 D램을 20나노 공정으로 양산하고 있고 SK하이닉스도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20나노 D램 공정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미 모바일·PC·서버를 아우르는 전 부문에서 20나노 D램 양산하고 있어 아직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