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파이낸셜 포커스] 한국금융 경쟁력 논란

당국도 WEF 조사 불신했는데… "한국 금융, 아프리카 수준 아니다"

靑 "세계 80위권 수준" 질타에 금융계 "객관성 떨어지는 수치로

동급 취급은 어불성설" 볼멘소리



지난 2013년 9월. 세계경제포럼(WEF)이 선정한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가 19위에서 25위로 내려앉자 금융당국은 급히 진화에 나섰다. 당시 금융위원회는 "WEF 경쟁력 지수가 주관적인 설문조사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국가 간 비교가 아닌 해당국 국민만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여서 순위가 객관적인 경쟁력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약 2년 뒤인 2015년 8월6일. 청와대는 WEF 수치를 언급하며 금융권을 압박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가진 우리나라가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슷한 80위권의 금융 경쟁력을 갖고 있다"며 금융권을 질타한 것.


청와대와 금융당국 중 어느 쪽 말이 맞을까. 금융계에서는 "한국의 금융과 아프리카 금융을 동급에 놓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박 대통령이 인용한 WEF 순위 자체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이는 WEF의 조사방법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실제 WEF의 금융시장 경쟁력 조사 항목은 △금융서비스 이용 가능성 △벤처자본의 이용 가능성 △금융서비스 가격 적정성 △은행 건전성 △국내 주식시장을 통한 자본조달 △증권거래 관련 규제 △대출의 용이성 △법적 권리 지수 등 총 8개 항목이다. 이 중 담보 등에 대한 채권·채무자의 권리를 지수화한 '법적 권리 지수' 외에 나머지는 응답자의 주관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설문조사 내용을 수치화한 것이다. 1~7점 사이에서 고를 수 있는 해당 설문의 조사 결과는 응답자의 자의에 따라 언제든 변할 수 있다.

표본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WEF의 한국 내 협력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다양한 업종의 국내 기업 100곳을 선정해 조사를 진행했다는 입장이지만 은행에 아쉬운 소리를 할 일이 많은 기업인들이 금융사를 우호적으로 평가했을 리가 없다. 실제 한국의 은행 건전성 지수는 세계 122위로 조사됐는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지난해 14%를 기록, 국제권고 기준인 8%를 훌쩍 뛰어넘고 있다. 반면 평가 항목 중 유일하게 설문이 아닌 통계치를 활용한 법적권리 지수는 세계 29위로 '대출의 용이성(120위)' '벤처자본이용가능성(107위)' 등 설문을 통한 조사 항목에 비해 순위가 훨씬 높다.

WEF 조사에 참여한 나라마다 설문조사 샘플과 취합 방식이 다른 점도 지적된다. 호주와 벨기에·체코 등 20여개의 국가에서는 해당 설문조사를 100% 온라인으로 진행했으며 미국과 중국 등은 300명이 넘는 인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나라별로 편차가 크다. 반면 한국의 경우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됐다.

해당 수치의 낮은 신뢰성은 널뛰기하는 한국의 금융신뢰지수에서도 알 수 있다. 2007년 한국의 금융경쟁력 순위는 27위였으나 2010년에는 83위로 떨어졌다가 2012년에는 다시 71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지난해에는 다시 80위로 내려앉는 등 최근 10년 동안 일정하지 않은 추이를 보이고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해외 언론에서도 잘 인용하지 않는데다 금융 관료들까지 부정한 WEF 순위를 청와대에서 언급하며 금융권을 압박하는 행태를 이해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