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국제 경제] 미국의회 시리아 공습 승인 여부 촉각

이번 주에는 시리아 군사개입에 대한 미국 의회의 결정이 글로벌 경제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주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여부에 대한 논란도 시장의 화두가 될 전망이다.

미 의회가 여름 휴가를 마치고 9일(현지시간) 개원하면서 시리아 사태에 대한 논의는 이번 주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제출한 군사개입 승인 요청안이 지난주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수정, 승인되면서 시리아 개입 논의는 한 걸음 진척됐다. 상원 외교위는 시리아 군사 목표물을 대상으로 우선 60일 동안, 그리고 대통령의 요청이 있을 시 30일간 연장해 대통령이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승인했다. 이 같은 상원 결의안은 오는 11일께 상원 전체회의에 상정되며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관건은 하원이다. 야당인 공화당이 다수인 하원에서는 언제 안건을 상정할지조차 확정되지 않았다. 미 언론에 따르면 하원에서 시리아 공격에 반대하는 의원 수가 절반 남짓이어서 시리아 공격안이 하원을 통과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실정이다.

군사개입 승인에 대해 의회가 어떤 결의안을 내놓느냐에 따라 이번 주 이후 금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 지난 주 발표된 미 고용지표가 연준의 결정에 확실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애매한 수준으로 나오면서 이번 주에는 미국 출구전략에 대한 갑론을박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눈치보기 장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연준이 이달부터 100억~150억달러 수준의 ‘미니’양적완화 축소에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글로벌 경제지표로는 9일 각가 발표되는 일본의 2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 수정치와 중국 8월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챙겨볼 필요가 있다. 일본 언론은 GDP 성장률 수정치가 기존에 발표된 수치인 2.6%에서 크게 오른 3.8%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어, 내년 4월로 예정된 일본 정부의 소비세율 인상계획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