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DMZ 지하수 매장량 25억 톤…남북공동 먹는샘물 사업추진<경기개발硏>

매년 10% 이상 증가하는 물 산업 시장규모에 맞춰 DMZ 먹는샘물을 개발하면 남북협력에도 일조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18일 'DMZ 먹는샘물의 남북공동 개발방안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DMZ 내 지하수 매장량은 25억 톤으로 추정된다. DMZ 인근에서 먹는 샘물을 생산하는 곳은 모두 4곳(파주시 1개소, 연천군 3개소)이다. 먹는 샘물 원수 분석 결과 미네랄이 풍부한 양질의 원수로 나타났다.


조영무 연구위원은 “DMZ 먹는샘물 사업이 실현된다면 경제협력사업이라는 미시적 측면뿐만 아니라 남북관계라는 거시적 측면에서 ‘적극적 평화’의 개념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먹는 샘물 개발사업이 소규모 프로젝트이기는 하나 남북경협의 신 사업 모델인 만큼 잠재가치가 풍부한 북한 광물자원을 활용한 남북협력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먹는 샘물사업 자체만으로는 북한의 동의를 얻어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북한에 제공할 수 있는 경제적 인센티브 등 다양한 편익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연구위원은 “DMZ가 갖고 있는 지역의 특수성, 청정지역, 평화의 상징 등 긍정적 이미지를 활용해 먹는샘물의 해외시장 개척 및 프리미엄 워터 시장의 수출증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010년 기준 세계 물산업 시장규모 중 병입수시장은 12.2%(65조 원)를 차지하며 매년 10% 이상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1년 세계 1인당 먹는샘물 연평균 소비량은 33.3L로 2006년 대비 18% 증가했다.

국내 먹는샘물 제조업체는 지난 1995년 14개소에서 2012년 67개소로 급격히 늘어났으며, 경기도가 16개소(2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경남, 충북 순이다. 전국의 일일 취수허용량은 3만4,739톤이며, 이 중 경기도는 1만2,258톤(35%)으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국내 먹는샘물 판매량은 2011년 347만 톤이며 판매액은 3,754억 원에 이른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