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브라질 2014] 월드컵인데, 웃지 못하는 브라질 한국학교...세금 체납에 경매 위기

공한옥 교장 “현지 진출 한국기업 등과 학교 살렸으면”

브라질 한국 학교 전경.

“남미의 심장인 브라질에 한국통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 없어질 위기에 처해 있어요. 시가 6,000만헤알인 건물을 1,000만헤알에 넘길 수는 없습니다.”

브라질 전역이 월드컵에 빠져들고 있지만 웃지 못하는 곳이 있다. 브라질 현지에서 우리나라 축구 국가 대표팀의 선전을 기원하면서도 마음 한 켠에는 언제 건물을 비워줘야 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바로 브라질 한국 학교다.


올해로 개교 16년을 맞은 상파울루시의 브라질 한국 학교가 폐교 위기에 처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초ㆍ중ㆍ고교 과정이 있었지만 재정난으로 올해부터 중ㆍ고교 과정이 없어지고 유치원 76명, 초등학교 54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학교 규모만 해도 건평 1만2,500㎡(약 3,780평)에 부지만 5,500㎡(약 1,663평)다.

관련기사



그나마 올해 들어서는 임직원 복지후생 노동세와 가옥세 같은 세금 체납으로 학교가 경매에 넘어갈 처지다. 세금 체납액만 약 1,000만헤알(약 45억원)에 달한다. 학생 수가 줄면서 수업료 수입이 줄어드는 상황에 제때 대응하지 못한 탓이다. 학교 재정관리도 제대로 못했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일부 교민 자녀들의 수업료 미납액만 500만헤알에 이른다.

중요한 것은 세금 체납액 중 300만헤알이 브라질 정부에 담보로 잡혀 있다는 점이다. 지금은 담보권 실행이 미뤄지고 있지만 언제까지 브라질 정부의 호의에 기댈 수는 없다. 브라질은 공시지가가 낮아 학교가 경매에 넘어가면 6,000만헤알짜리 건물이 1,000만헤알에 팔릴 전망이다.

학교 측의 바람은 한국 정부와 브라질 진출 기업들이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다. 공한옥 브라질 한국 학교 교장은 14일(현지시간) “1차적으로는 그동안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학교에 책임이 있다”면서도 “현지 교민 아이들을 가르치고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 진출과 교류협력의 발판이 되는 한국 학교가 없어지는 일만큼은 막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학교에서도 주차장과 남는 공간을 외부에 임대하고 비용을 줄이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현지 교민들도 십시일반 성금을 모으고 있다. 작년부터 올해까지 약 140만헤알이 모였다. 배학성 브라질 한인회 이사장은 “300만헤알에 달하는 세금만 내면 앞으로는 학교가 제대로 운영될 수 있는 만큼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