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佛·伊등 유럽 4개국 공매도 금지…EU 전체 확산되나

글로벌 증시가 급등락을 반복하며 롤러코스트 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럽도 공매도(쇼트셀링) 금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유럽증권시장감독당국(ESMA)은 11일(현지시각)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등 4개국이 최근의 주식시장 폭락에 대응해 주식 공매도를 규제하는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유럽에서는 이미 지난 8일 그리스가 공매도 금지조치를 내린 바 있다. 공매도는 투자자가 앞으로 주식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황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것을 뜻한다. 만약 주식이 실제로 폭락하게 되면 떨어진 폭만큼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최근 유럽 증시가 연일 하락하면서 일부에서는 주식 공매도가 금융시장의 혼란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일부 공매도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잘못된 소문을 퍼뜨려 주가를 폭락시켰기 때문에 유럽 증시에서의 혼란이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벨기에의 경우 무차입 공매도만 규제해오던 것을 12일부터 모든 공매도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탈리아도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에 대해 일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키로 결정하기로 했다. 미국의 마켓워치는 “이탈리아 증권당국이 시장이 개장하기 전에 공매도 금지 결정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CNBC는 이탈리아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12일부터 주식에 공매도를 금지하는 조치를 실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프랑스중앙은행의 크리스티앙 노이어 총재는 “소시에테제너럴(SG)이나 BNP파리바와 같은 대형은행들이 일부 잘못된 소문에 의해 주가가 과도하게 폭락했다”며 공매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ESMA의 빅토리아 파월 대변인은 “EU 회원국 금융 당국과 공조가 필요한지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유럽 4개국의 공매도 규제조치의 효과에 대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고 전했다. FT는 “일부에서 공매도 금지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우려하는 반면 정책당국을 포함한 다른 한 쪽에서는 이번 조치로 금융시장이 한층 안정될 것이라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