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택시 승차거부·바가지요금 더 늘었다

서울시 올 단속활동 결과<br>심야 승차거부 22% 늘고<br>외국인 상대 바가지 여전

택시 승차를 거부하거나 외국인에게 바가지요금을 씌우는 등 차량 불법 행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단속한 심야 택시 승차거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나 늘어난 1,728건에 달했다고 3일 밝혔다. 승차거부로 적발되면 1회는 과태료 20만원이 부과되며, 총 4차례 적발되면 택시운행 자격이 취소된다. 시는 교통지도과에 '택시 승차거부 조사ㆍ적발팀'을 설치하는 등 모두 145명의 인력을 투입해 승차거부를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 서울시는 외국인을 상대로 한 콜밴 불법영업 행위도 지난해보다 10% 늘어난 43건을 단속했다. 콜밴은 6인승 밴형 화물자동차로 많은 짐(20㎏)을 가지고 입국하는 외국인을 위해 화물 운송용으로 도입됐다. 하지만 콜밴 운전자들은 공항이나 명동ㆍ동대문 쇼핑몰 부근에서 불법으로 승객을 태우며 택시 영업을 하거나 외국인에게 바가지요금을 씌우기도 했다. 황중익 서울시 교통지도과장은 "콜밴은 2∼3배의 바가지 요금을 씌우고 심할 때는 10배 이상의 요금을 요구해 국제적 망신을 사고 있다"며 "콜밴 영업자들이 단속에 항의하며 폭언과 폭행을 일삼는 경우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단속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관광버스 불법개조 및 노래기기 설치 204건, 콜뛰기(승용차 불법 택시영업) 115건, 일정 구간을 셔틀식으로 합승 운행하는 다람쥐택시 96건을 적발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