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미사일] 日, 미국과 공조 속 사태전개 촉각

일본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강행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긴장 속에 사태전개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미국과의 공조라는 큰 틀 아래서 군사적으로는 이지스함 '초카이'와 전자전 정보수집기 'FP3'와 전자정찰기를 각각 동해로 전개, 육상과 해상에서 정보수집과 경계.추적 태세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또 실험단계인 항공자위대의 신형지상레이더 'FPS-XX'의 실전운용태세 돌입으로미국의 조기경계위성 및 자국 이지스함과 합동으로 탄도 포착에 나서는 등 사실상 '실전' 대비체제를 갖췄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외상은 17일 밤 토머스 쉬퍼 주일 미국대사와 긴급회동을갖고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움직임을 '도발적 행위'로 규정, 즉각 중단하고 북핵6자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16일 베이징(北京) 외교경로를 통해 북한의 움직임을 경고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도 17일 스티븐 해들리 미 백악관 국가안보담당보좌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면 양국이 협력해 강경한 대북조치를 취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아소 외상은 18일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요구하겠으며 자국법을 활용해 대북 경제제재도 불사하겠다는 강한 경고를 통해 대북 압박을 이어갔다. 일본 정부는 지난 1998년에 이어 다시 북한 미사일이 일본 열도 상공을 통과하는 사태를 좌시할 수 없으며 북한의 미사일발사가 2002년 북.일 정상간의 '평양선언'에 위배된다는 강경한 입장을 정리했다. 다만 정부 일각에서는 북한의 동태가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에 대한 양보를 촉구하는 '시위'일 뿐 실행으로는 옮겨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 아래, 총리관저와 방위청, 외무성 등이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 군 당국은 이번 사태의 대처가 주일미군과 자위대간의 미사일방어를 포함한 새로운 공조체제를 확인하는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고 유기적 협력틀 구축에 주력하는 양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