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바젤2·국제회계기준등 도입에 '인프라 정비'

컨설팅사와 계약… 연결재무제표로 변경·거래고객 위험도 DB화


은행권이 바젤II(신 BIS협약), 국제회계기준(IFRS), 자금세탁방지법 등 새로운 금융제도들이 잇달아 도입됨에 따라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5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ㆍ우리은행 등 시중은행들은 외부 컨설팅 계약을 맺고 오는 2,011년부터 도입되는 국제회계기준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은행마다 준비작업이 끝나는 대로 오는 2,009년부터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연도별 비교공시 때문에 사실상 2,009년 말까지 국제회계기준을 마련해야 하는 형편이라 국제회계기준 관련 인프라 정비는 시급한 과제로 지적된다. 국제회계기준의 핵심은 주 재무제표를 개별재무제표에서 연결제무제표로 바꾸는 것이다. 따라서 계열사간 내부거래가 그대로 드러나 그룹 전체의 매출과 순익이 줄어들고 부채비율이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A사가 계열사인 B사에 100억원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했을 때 A사의 개별 재무제표에는 100억원의 매출로 잡히지만 연결재무제표는 계열사간 거래가 상계되기 때문에 매출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된다. 특히 상환 우선주는 현재 자본으로 분류돼 은행의 자본건전성 지표인 BIS비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국제회계기준에서는 부채로 분류된다. 따라서 부채비율이 높아지고, BIS 비율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은행권의 경영 및 재무 전략에도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은행권은 올 초부터 시행된 ‘바젤 2’로 BIS 자기자본비율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국민, 신한은행 등은 감독당국으로부터 스스로 대출자산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내부등급법 시행 승인을 받아 BIS 비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은행들은 금융당국이 강제적으로 위험가중자산비율을 정하는 표준등급법을 쓰기 때문에 BIS 비율이 떨어지는 수난을 겪고있다. 내부등급법은 대출자산의 자체 위험도 측정 능력을 인정받아 위험가중자산을 적게 쌓을 수 있지만 표준등급법은 상대적으로 위험가중자산을 많이 쌓아야 한다. 올 12월 시행되는 자금세탁방지법 개정안도 준비 정도에 따라 개별 은행의 국제 신뢰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마약, 비자금 등 검은 금융거래를 적발하기 위해 은행은 모든 거래고객의 위험도등을 측정해 이를 DB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이 같은 시스템 마련을 위해 딜로이트 등 컨설팅업체들과의 계약을 추진하고 있으며 은행권 전체로는 4,000억원의 컨설팅비용 및 정보기술(IT)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