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추락 아시아나 화물기 동체 위치 확인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28일 제주도 인근 해상에 추락한 아시아나 항공 화물기의 동체 위치가 확인돼 곧 인양할 것이라고 17일 밝혔다. 김한영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아직 블랙박스를 찾지는 못했지만 동체 잔해물 절반 이상의 위치를 파악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우선 블랙박스 장착 가능성이 높은 기체의 꼬리 부분을 먼저 인양하고 나머지 기체를 끌어올릴 것”이라며 기체 꼬리 부분 인양의 경우 2~3주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김 실장은 “현지에서 사고 조사를 하고 있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현재까지 최대 34m에 이르는 사고기 잔해물 39조각의 위치를 확인했다”며 “이 중에는 블랙박스가 실려있을 가능성이 높은 기체 꼬리 부분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실장에 따르면 사고조사위는 블랙박스 음파 발생기의 손상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아래 최근 음파를 탐지해 블랙박스를 찾는 방법을 포기했다. 대신 소나와 무인 원격조정 심해잠수정을 갖춘 조사선을 투입, 동체의 위치를 찾는 쪽으로 수색 방향을 바꿨다. 또 사고조사위는 음파발생장치가 화재에 의한 열 손상이나 추락 충격으로 파손됐거나 해저 뻘에 박혀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김 실장은 추락 화물기 기장이 사고 직전 거액의 보험 가입에 대해 “엄격한 항공 매뉴얼과 항공기 구조 등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보험사기일 확률은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토부에 따르면 미국 항공사고조사위원회 전문가 10여명과 싱가포르ㆍ대만 전문가 등 총 14명의 외국 전문가가 블랙박스 수색 등의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