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비싸서 김장하기 겁나네

수입 김장채소값도 폭등세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무, 대파, 생강 등 김장 재료값이 급등하고 있다.

21일 한국농수산식품공사가 집계한 ‘김장 관련 품목 소매가격 변동추이’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상품 배추 1포기 값은 3,705원으로 1년 전 가격보다 61.2%나 올랐다. 대파 1㎏ 가격은 3,818원으로 75.9%, 무 1개 값은 2,421원으로 49.5%, 생강은 ㎏당 1만153원으로 26.6%씩 각각 인상됐다. 깐마늘(㎏당 7,399원), 쪽파(㎏당 4,956원)도 작년보다 각각 14.2%, 15.1% 올랐다. 가격이 내린 품목은 마른고추(-12.9%), 굴(-12.2%), 미나리(-9.4%) 정도에 그쳤다.


더욱이 외국에서 수입되는 배추, 생강, 마늘, 고추 등 김장 관련 수입 농산물 가격도 폭등하고 있어 물가 상승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관세청이 집계한 ‘9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 동향’에 따르면 생강 수입가격은 ㎏당 2,171원으로 지난달보다 75.3%, 지난해 9월보다는 195.6%나 올랐다. 냉장 마늘 값은 ㎏당 2,477원으로 1년 전보다 140.3%, 건조 고추는 1만4,012원으로 132.4%나 뛰었다. 마늘과 고추 가격 급등은 중국산 산지 가격의 상승이 주 요인이다. 관세청 관계자는 “중국 등 주요산지의 작황이 좋지 않아 수입가격이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여름철 고온ㆍ가뭄과 태풍의 영향으로 국산 배추의 재고량이 줄어든 배추 역시 수입가격이 ㎏당 589원으로 지난해보다 43.4% 올랐다. 건조 무(16.6%), 냉동마늘(11.1%), 냉동고추(4.2%), 당근(9.2%) 등도 오름세다.

이에 따라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대책반을 만들어 김장철이 끝날 때까지 배추 등 김장용 품목을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또 배추가 수요보다 5만5,000톤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겨울배추 생산량의 15% 가량(5∼6만톤)을 예년보다 1개월 앞당겨 출하하고 배추ㆍ무, 양념류의 비축 물량을 소매시장을 중심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김장 담그는 시기를 다음달 하순으로 정하면 평균 비용을 14% 절약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