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박승호 포항시장, “과학벨트 분산배치는 과학 미래 말살행위”

박승호 포항시장은 12일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분산배치 주장에 대해 “과학계의 염원과 국내 과학기술연구 인프라의 현실을 무시한 망국적 발상”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경북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과학벨트 구축은 연구인력과 시설집적화를 통한 시너지효과 극대화 등 국가 과학경쟁력 향상이 최우선 목표로, 정치적 흥정이나 쟁점화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이어 “포항에는 3ㆍ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비롯, 인근 경주에 들어설 양성자가속기, 포스텍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을 중심으로 한 100여개의 연구기관 및 연구소 등이 이미 ‘테크노밸리’를 이루고 있다”며 “이 같은 인프라와 과학벨트를 연계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과학벨트 입지의 또 다른 기준인 부지확보성과 지반안전성에 대해서도 “200만평 이상의 가용부지를 확보하고 있고, 인근 경주ㆍ울진에 원전 10기가 가동되고 있는 만큼 이 부문도 이미 검증됐다”고 주장했다. 이날 함께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김영길 한동대학교 총장과 정윤화 포스텍 부총장도 “막스플랑크연구소 등 세계적 연구기관들이 한국 입지 근거지로 포항을 선택한 이유를 정부와 정치권이 세심하게 살펴봐야 할 것”이라며 “과학벨트의 최적 입지는 포항”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